이번 김장 어떡하지?...배추, 마늘, 무, 쪽파만 사도 8만 원 넘어
▷ 7월보단 낫지만, 여전히 높은 소비자물가
▷ 인플레이션에 수해 겹쳐...배춧값 많이 올라
▷ 11월 초 본격적인 김장 시즌 도래...정부, "공급망 흔들림 없게끔"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8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 전년동월대비 6%나 올랐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꾸준히 오르기 시작한 물가는 7월(소비자물가지수 108.7)보다 다소 안정되었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여전히 높습니다.
특히, 주부들의 시름은 더욱 깊습니다. 추석에 이어 김장 시즌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배추 약 10포기로 김장김치를 한다고 계산해보면, 9월 2일 기준 김장 비용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배추 12kg: 52,116원 (배추
1.5~2.0kg 당 평균 8,686원)
마늘 500g: 8,636원 (100g 당
평균 1,727원)
무 1.5kg: 3,672원 (1.5kg에
3,672원)
쪽파 700g: 15,813원 (100g당
평균 2,259원)
= 80,237원
※ 한국소비자원 참가격 기준, 평균가로 계산했습니다.
※ 레시피는 ‘백종원의 요리비책’을 참고했습니다.
여기에 고춧가루, 찹쌀가루, 굴, 소금, 멸치액젓, 새우젓, 갓 등 각종 양념류의 가격까지 더하면 김장비는 15만원은 가볍게 초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김장 주재료의 수급과 가격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10월 중 김장채소 수급안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엄중한 물가 여건이 계속되고 있다”며,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는 채소류 등 농산물은 공급여건이 개선되는 시점까지 수급관리에 전방위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농산물 가격이 기본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태풍 힌남노 등 수해까지 겹쳐 물가 상승 요인이 더해졌기 때문입니다.
추 부총리는 특히 배춧값에 많은 신경을 기울이겠다고 언급했습니다.
11월 초면 시작되는 본격적인 김장철을 대비해 배추 공급망을 튼튼히 구축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갖고 있는 배추 물량을 빠르게 시중에 풀고, 배추 수입 시기를
2주 정도 앞당기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집니다.
추경호 부총리 曰 “최근 가격이 높은 배추는 가을철 재배 정부물량을 완전
생육전 조기 출하하고, 수출김치용 배추(600톤)를 당초보다 조기 수입하는 등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추 부총리는 늦어도 10월 이후면 물가 여건이 개선될 것이라 보고 있지만, 최근 이어지고 있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고환율, 복구에 시간이 필요한 남부 수해 지역 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보면, 밝은 전망을 장담하기는 다소 어려워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