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라면, 우유,과자, 채소... 물가 오르지 않는 게 없다

▷ 10년 가까이 가격 동결한 오리온, 이번에 가격 올려
▷ 수해로 농작물도 큰 피해...가격 ↑
▷ 추경호 경제부총리, "10월에는 물가 안정되지 않을까"

입력 : 2022.09.15 17:00 수정 : 2022.09.15 17:07
 

 

#신라면 한 봉지, 736원→820

 

최근 국내 소비자물가를 살펴보면 사실상 쇼크수준에 가깝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남녀노소 즐겨먹는 라면은 물론, 과자, 시리얼, 마요네즈 등 식품 가격이 대부분 오름세를 타고 있는데요.

 

2013년 이래로 9년 동안 가격을 올리지 않은 오리온도 이번 인플레이션에 무너졌습니다. 15일부터 초코파이와 포카칩, 꼬북칩 등 인기 과자 품목의 가격이 일제히 상승합니다.

 

오리온 曰 지난달 기준 유지류, 당류, 감자류 등 주요 원재료의 가격은 전년 대비 최대 70% 이상, 제품 생산과 물류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은 배 가까이 올랐다

 

농심 역시 지난달 말부터 신라면과 새우깡, 짜파게티, 꿀꽈배기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인상하고, 팔도는 다음달부터 라면 12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9.8% 올립니다

 

여럿 식품 대기업이 제품 가격을 올린 이상 오뚜기, 삼양식품 등 다른 기업들도 여기에 줄줄이 동참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유도 예외가 아닙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다음달부터 원유 구매가격을 리터당 58원 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게다가, 정부와 낙농업계가 원윳값 인상 논의에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우유 가격이 1L3천 원이 넘을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유의 가격이 오르면 치즈와 버터, 아이스크림 등 우유가 들어가는 유제품의 가격도 덩달아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채소값 역시 심상치 않다는 점입니다. 태풍 등 수해로 남부 지방이 많은 피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한국소비자원의 상품별가격동향에 따르면, 깻잎(100g)8월 가격은 4,449원이었는데, 불과 한 달 사이에 5,731원으로 천 원이 넘게 가격이 올랐습니다.

 

대파는 100g2,758원에서 3,327원으로, 풋고추가 100g2,160원에서 3,017, 호박이 1개에 2,695원에서 3,370원까지 오르는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신선식품 가격이 증가했는데요. 배추 도매가도 10kg27,440원으로 한 달 만에 두 배로 뛰었습니다.

 

이외에도 전기세와 가스비는 이미 다음달 인상이 확정되었고, 택시비 또한 가격 인상을 눈앞에 두고 있는 등,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10월에는 물가가 잡힐까?

 

물가는 도대체 언제쯤이면 안정화될까요.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소비자물가의 정점을 오는 10월로 예상했습니다

 

15일에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추 부총리는 환율이 빠르게 상승하기는 했지만 늦어도 10월경에는 소비자물가가 정점을 찍지 않을까, 그 이후로는 소폭이나마 서서히 안정화 기조로 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曰 유가나 해외요인이 여전히 잠복해있지만, 민생이나 장바구니 물가는 10월이 지나면서는 조금은 걱정은 덜어드릴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추 부총리가 신중하게 이야기한 만큼, 10월이 되어서도 물가가 비교적 안정화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아직 방심할 수는 없습니다. 환율이 무섭게 치솟아 어느덧 1516시 기준 1,395원까지 치솟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고환율 환경이 지속되면 원화가치는 하락할 수밖에 없고, 떨어진 원화가치는 결국 물가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해외로부터 물건을 사들일 때, 그만큼 많은 값을 원화로 지불해야하니까요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환율이 오르면 물가 부담이 커지고 물가 정점 시기가 멀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 曰 고환율이 지속되면 한국도 미국처럼 시장 기대를 꺾는 물가 쇼크가 올 수 있다

 

미국이 자이언트 스텝을 뛰어넘는 울트라 스텝’(1.0%) 수준의 금리 인상을 감행할 것이라는 우려가 대두하는 가운데, 한국은행의 대처에도 시선이 모이고 있습니다. 금리역전으로 원화 가치가 하락하는 걸 막기 위해 한국은행 역시 금리를 큰 폭으로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

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

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

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

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

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