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따뜻한 10월... 온실가스 농도도 사상 최고치
▷ 2023년 10월, 역사상 온도 가장 높아
▷ 온실가스 농도도 최고치... 커지는 환경 우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10월은 역사상 가장 따뜻한 10월이었습니다.
유럽연합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 C3S)에 따르면 지구의 월간 기온이 10월에 다시 한번 경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91년~2020년 평균보다 무려 0.85°C가 높았고, 올해 이전에 가장 따뜻했던 10월달보다 0.40°C 상승했습니다.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는 이에 대해 “2023년이 역사상 가장 따뜻한 해가 될 것이 거의 확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2023 is almost certain to be the warmest year on record”)며, 경고했습니다. 실제로 1월부터 10월까지 지구 평균 기온은 사상 최고치, 산업화 이전보다 1.43°C 높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은 열을 대기 안에 가두게끔 만드는 온실가스, 이 온실가스의
농도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5일
발표된 세계기상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산화탄소(CO2)의
전 세계 평균 농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5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도에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데요.

★ 온실가스 유형
이산화탄소(CO2): 기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로, 주로 화석 연료 발전이나 시멘트 생산으로 인해 발생한다. 지구 온난화 효과에 약 64%의 영향을 미친다
메탄(CH4): 메탄의 40%는 습지나 흰개미 등 자연에서 발생하며, 60%는 화석 연료 발전 등 인위적으로 발생한다. 지구 온난화 효과에 약 16%의 영향을 미친다
아산화질소(N2O): 자연에서 60%, 산업 활동에서 40%가 배출되며 오존층을 파괴하는 강력한 온실가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아산화질소의 증가량은 그 어느때보다 높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율은 전년도 및 10년 평균보다 약간 낮았습니다만, WMO는 “탄소 순환에서의 자연적이고 단기적인 변화 때문으로 보이며, 산업 활동으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But it
said this was most likely due to natural, short-term variations in the carbon
cycle and that new emissions as a result of industrial activities continued to
rise”)고 이야기했습니다. 최근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율이 다소 주춤한 것은 자연스러운
변화일 뿐, 산업 활동을 통해 탄소의 총량 자체는 늘어나고 있다는 겁니다. 이산화탄소 뿐만 아니라 메탄과 아산화질소 역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페테리 탈라스(Petteri Taalas) WMO 사무총장은 “수십년 간 이어진 과학계의 경고, 수천 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 수십 건의 기후 회의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여전히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Despite decades of warnings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thousands of pages of reports and dozens of climate conferences, we are still heading in the wrong direction”)고 밝혔습니다. 그는 지금의 온실가스 농도면, 지구 기온이 파리기후협정 때 인류가 정한 목표를 훨씬 초과해 상승할 것으로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극심한 더위와 비,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고 해양열과 산성화 등 더욱 극단적인 날씨가 동반될 것”("This will be accompanied by more extreme weather, including intense heat and rainfall, ice melt, sea-level rise and ocean heat and acidification")이라는 전망을 덧붙였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환경적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선 화석 연료의 사용을 신속하게 줄여야 한다고도 주장했는데요.
보통 대기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25%는 바다가, 30%는 숲이 흡수합니다.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흡수량에 차이가 있습니다만, 보통 절반에 가까운 이산화탄소는 자연이 해결합니다. 남아있는 45%의 이산화탄소는 현재까지도 대기 중을 떠돌고 있습니다.
배출이 계속되는 한,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 계속 축적되어 기온 상승을 유발합니다. 이산화탄소의 수명이 길다는 점을 감안하면, 배출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도 기온 상승을 막기는 어려워 보이는데요.
페테리 탈라스 사무총장은 “대기 중 과도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마법의 지팡이는 없다”(“There is no magic wand to remove the excess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며, 온실가스 농도 등 기후변화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