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 KBS 사장 취임 하루만 대국민 사과…”KBS 공정성 훼손에 깊은 유감”
▷박민, 대국민 기자회견 열고 대국민 사과문 발표
▷민주당, “당장 사장 자리를 그만두는 게 자신에게 좋을 것”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박민 KBS 사장이 취임 하루 만에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공영방송으로서 핵심 가치인 공정성을 훼손해 국민의 신뢰를 잃어버린 상황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정중히 사과한다”고 말했습니다.
박 사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KBS
아트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박 사장은 “대표 프로그램인 아홉시 뉴스(뉴스9)가 이른바 ‘검언유착’ 사건 오보로 하루 만에 사과했고, 사법당국의 수사로 관련자가 기소됐다”며 “장자연 씨 사망과 관련해 윤지오 씨를
출연시켰고,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오세훈 시장의 ‘생태탕’ 의혹을 집중 보도했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이어 “지난 몇 년 동안 불공정 편파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TV와 라디오에서 일부 진행자가 일방적으로 한쪽 진영의 편을 들거나 패널 선정이 편향된 일이
적지 않았다”며 “무분별한 속보
경쟁을 하지 않고, 팩트 체크를 활성화해 오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오보를 내면 사과할 것이며 정정보도는 원칙적으로 뉴스 첫머리에 보도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불공정 논란이 일면 잘잘못을 따져 책임을 묻겠다”며 “오보 사례의 재발을 막기 위해 주요
불공정 방송의 경위와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관련 백서를 발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사장은 또 KBS TV 수신료 분리징수와 경영상 어려움을 언급하며
“비효율적이고 방만한 경영으로 올해 800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예산에서 가장
큰 부분인 제작비 낭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저와 임원들이 솔선수범해 임금의 30퍼센트를 삭감하고, 명예퇴직을 확대 실시해 역삼각형의 비효율적 인력
구조를 개선할 것이며 구조조정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편 이날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박 사장이 취임 후 KBS 뉴스와
라디오 등의 앵커와 진행자를 대거 교체한 것에 대해 “군사쿠테타를 방불케 한다”며 비판했습니다.
홍 원내대표는 “박 사장 취임 첫날, 보도∙시사∙교양∙라디오 총괄책임자 5명이 물갈이돼 공식인 상황”이라며 “박 사장 취임 첫날부터 편성규약과 단체협약 위반행위가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홍
원내대표는 이어 “정권의 낙하산 사장이라고 정권에 충실하고 KBS를 유린해도 괜찮다는 말이냐. 방송은 국민의 것이지, 권력의 것이 아니다”라며 “당장은 방송장악 시나리오가 성공하는 것 같지만 반드시 실패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법적, 정치적 책임은 물론 역사적 심판을 반드시
받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당장
사장을 그만두는 게 자신한테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