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3분기 영업이익 2조원 달성…내년엔 연간 영업이익 흑자전환 기대
▷한국전력 3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24조4천700억원, 영업이익은 2조원
▷키움증권, “4분기 실적 3분기보다 부진할 전망이지만, 적자 폭은 제한적일 것”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전력이 3분기 영업이익 2조원을 달성하며 10분기만에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한 가운데 키움증권은 14일 한국전력이 내년 4년만에 연간 영업이익 흑자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전력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24조4천700억원, 영업이익은 2조원으로
2021년 1분기 이후 10분기만에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석탄투입 단가와 SMP(계통한계가격, 한전이 발전사로부터 전력을 구입하는 가격)하락으로 연료비 및 구입전력비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5월 16일부터 전기요금 8.0원/kWh 추가인상이
반영되면서 수익구조가 개선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이어 “국제 유가가 6월을 저점으로 9월까지 단기적으로 반등하면서 이에 후행하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과 SMP가 4분기
일시적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있고,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전력 판매량 감소와 기저발전 이용률 하락으로
3분기 대비 비용구조 악화가 예상돼 4분기 실적은 3분기보다 부진할 전망”이라며 목표주가를 2만4천원에서 2만2천500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다만 “지난 11월
9일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평균 10.6원으로 추가 인상됨에
따라 4분기 영업이익이 다시 적자로 전환된다 하더라도 그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투자 의견은 ‘매수’로 유지했습니다.
아울러 내년 4월 총선 이후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내놨습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전기요금은 1분기 11.4원, 2분기
8.0원 등 상반기에만 19.4원 인상됐고, 4분기에는 산업용만 평균 10.6원 추가 인상됐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국회에 제출한 ‘한전 경영 정상화 방안’에서 제시된 올해 필요 인상분이 총 51.6원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내년에도 추가 인상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내년 4월 총선 이후 전기요금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