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KT, B2B 수주 확보하고 있는 만큼 확실한 성장 기대"
▷신한은행 투자증권서 기업분석 보고서 발표
▷3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컨선세스 하회
▷"KT 신임대표 경영전략 발표 내년초로 예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8일 KT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주식 종목에 대해 전문가들이 분석한 평균 전망치)보다 낮은 결과가 나왔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내년 KT는 안정적인 기업 간 거래(B2B) 수주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확실한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김아람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내고 KT가 공시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평가하고 전망했습니다. KT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조6974억원, 영업이익 32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김 수석 연구원은 "컨센서스와 괴리가 컸던 이유는 4분기로 예상된 임금 및 단체협상이 조기 타결되고 서비스구입비 평활화(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감소시키거나 제외시키는 작동을 실시하는 일)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회사가 관련 이슈를 소통한 직전 1개월 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에는 대체로 부합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유무선 매출이 각각 한자릿수 초중반대 안정적 성장(각각 2.4%, 1.8%)와 감가비가 잘 통제됐다. 그룹사 이익기여는 경기 둔화에도 KT클라우드와 KT에스테이트가 호실적을 기록하며 전년 수준인 1285억원을 유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김 수석 연구원은 "2024년 통신업종 투자매력도는 2023년 대비 높지 않으나 KT는 상대적으로 전통적이 B2B 강자인만큼 '확실한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했습니다. 실제 KT의 B2B 수주규모는 2020년 2조3000억원에서 2022년 3조3000억원으로 약 1조원 증가했으며, 올해 수주규모는 최소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 수석 연구원은 KT의 신임대표의 경영전략 발표는 내년초로 예상된다며 "지난 실적발표에서 '통신 본질에 집중하고 IT 역량을 향상시켜 기업고객 DX(디지털전환)파트너가 되겠다'는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공유했는데 내년에는 이러한 전략이 보다 구체화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KT는 지난달 발표한 새로운 중기 주주환원 정책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KT는 별도 조정 당기순이익의 50%을 재원으로 사용하며 회계연도 기준으로 2023~2025년도 주당 배당금을 최소 2022년 수준으로 보장할 계획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