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특수교사노조, "교육의 질 저하 초래하는 특별양성체제 반대한다"

▷교육의질 저하 초래...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확충해야
▷장은미 위원장 "차별적 인식 멈추고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하라"
▷이혜연 사무총장 "아직 확정된 내용 아니야...성급한 기자회견"

입력 : 2023.10.31 16:23 수정 : 2023.10.31 16:25
특수교사노조, "교육의 질 저하 초래하는 특별양성체제 반대한다"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이 31일 세종시 교육부 앞에서 '특별양성체제를 통한 유아특수교사로의 자격전환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출처=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이하 특수교사노조)이 유보통합의 교사 양성체제 방안 중 하나인 특별양성체제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이하 특수교사노조)는 31일 세종시 교육부 앞에서 '특별양성체제를 통한 유아특수교사로의 자격전환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특별양성체제란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유아특수교사 자격 취득과정에 준하는 교육과정을 듣고 난 뒤 관련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교사 자격 통합 방안 중 하나입니다.

 

장은미 특수교사노조 위원장은 특별양성체제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거라 주장했습니다. 

 

장 위원장은 "유, 초, 중등 특수교사는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4년 과정을 마친뒤 2급 교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특정 직군에게 특별한 자격 취득 기회를 준다면 공정하지 않다"면서 "양성체제가 다른 자격확인서를 교원자격증으로 변경한다면 이것은 아무나 교원이 될 수 있어 교육의 질 저래, 교직개방의 시작이 될 것이다"고 했습니다.

 

또한 장 위원장은 유치원 내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를 확충해야 한다고 했습니다.특수학교(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했지만 가르치지 못하는 약 5000명의 특수교사를 교육부가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장 위원장은 "그동안 정부가 유아특수교사 임용을 하지 않은 덕에 가르치고 싶어도 가르칠 곳이 없어 어린이집, 치료기관 등 학교가 아닌 곳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가 이미 수천명에 달한다.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굳이 유아특수교사로 특별전환하지 않아도 이미 자격을 갖추 유아특수교사가 있다는 얘기"라면서 "정부는 유치원내 특수학급 혹은 유아특수학교 등 교육기관을 증설하여 특수교육대상영유아를 배치하고 유아특수교사 임용 정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장 위원장은 "유아특수교사 자격을 쉽게 논하는 것 자체가 특수교육대상영유아에게 필요한 특수교육은 아무나 가르치면 된다는 차별적 인식이다. 특수교육과 특수교육대상영유아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멈추고 특수교육의 전문성을 인정하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혜연 장애영유아보육·교육정상화추진연대 사무총장은 이번 특수교사노조의 기자회견에 대해 "교사양성체제는 장애영유아 특수교육 자문을 위해 만든 별도의 TF를 통해 내년에 논의하자고 약속했다. 그런데 아직 확정되지 않은 특별양성체제를 마치 곧 시행될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24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