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찾은 한덕수 국무총리... "긴밀한 협력 관계 희망"
▷ 한 총리, '방산 대박' 폴란드와 우호 다져
▷ 폴란드, "방위 산업 뿐만 아니라, 원전 등 다방면 분야에서 협력 희망"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체코에 이어 폴란드를 방문해, 폴란드와 총리회담을 가졌습니다.
지난 13일, 한 총리른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Mateuz Morawiecki) 폴란드 총리와 회담 및 언론 브리핑을 진행한 뒤, 14일에는 ‘한-폴란드 포럼’에서 두다 폴란드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경제를 포함한 포괄적인 부분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 나갈 것을 약속했습니다.
한 총리는 모라비에츠키 총리에게 지난해 양국 간 교역액이 역대 최대인 약 90억 불을 기록했다며, 금년도 전략적 동반자 수립 10주년을 맞아 한국과 폴란드 간 긴밀한 협력이 이어지기를 희망했습니다.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한 총리에게 ‘”한국은 폴란드의 가장 가까운 파트너”로서, 1989년에 수교를 맺은 이후 양국의 교류와 협력이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해 왔다고 평가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과 폴란드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계속 이어지길 희망했는데요. 이에
대해 한 총리는 “믿음은 산도 움직인다”는 폴란드 속담을
인용하며 양국 정부와 경제인들이 함께 다진 믿음이 거대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한국과 폴란드가 이처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심에는 ‘방위 산업’이 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방산수출 수주액은 무려 170억 불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폴란드 군비청이 우리나라 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으로부터 230mm급 다연장로켓 ‘천무’를 비롯해 FA-50GF 전투기, K2 전차, K9 자주포 등 다량의 무기를 구입했기 때문입니다.
이웃나라인 우크라이나의 전쟁을 목격한 폴란드는 국방력을 키워야 한다는 목적의식을 내부적으로 키운 듯합니다. 군비를 증강하는 과정에서 폴란드는 한국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했고, 그렇기에 한국산 무기를 적극적으로 수입해 간 셈입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분석한 품목별 유망시장에 따르면, 무기류(MTI CODE: 970100) 기준 폴란드의 수입지역 순위에서 한국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보면, 폴란드는 전 세계 무기류 수출 상위지역 중 1위입니다. 한국은 폴란드에게 불과 2만 달러 가치의 무기를 수출하는 데에 그쳤으나
2022년엔 1억 4천만
달러로 껑충 뛴 바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미국(약
1억 달러)을 앞선 규모입니다. KOTRA는 폴란드의 무기류 수입시장이 성장세에 있고, 유망시장으로서
전세계에서 1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과 폴란드는 방산 뿐만 아니라 원전, 인프라, 우크라이나 재건, 배터리 등의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습니다. 한 총리는 양국의 협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이슈에 공동대응하는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밝혔고,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각종 분야에서의 협력은 물론, 인적교류
확대를 통해 국민간 우호와 상호 이해도 심화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