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당 대표 이재명 저격 "명분도 실리도 없는 단식 멈춰야"
▷이재명 당대표 페이스북 "우리 모두 지치지 말라"는 메시지 남겨
▷이상민 의원 "뒤로 물러서는 것도 때로는 더 큰 용기"
출처=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단식 6일차를 맞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가 페이스북에 "우리 모두 지치지 말라"는 글을 올리자, 같은 당 이상민 의원이 "명분도 실리도 없는 단식 멈춰 달라"고 응수했습니다.
이 대표는 5일 페이스북에 '결국 국민이 승리할 것이기에 지치지 않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오늘도 지치지 않겠습니다. 우리 모두 지치지 맙시다"라고 했습니다.
이 대표는 전날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 함세웅 신부와 만난 사실을 언급하며 "독재 타도에 앞장서신 신부님 모습을 보니 1987년과 지금이 겹쳐보인다"라고 했습니다.
이 대표는 "4·19부터 5·18, 6·10민주항쟁에 이어 촛불혁명까지, 우리 선배들은 목숨을 걸고 '국민이 주인인 세상'을 만들어 내려 했다"면서 "피로 쟁취한 민주주의가 망가지고 있다. 군부독재의 군홧발이 사라진 자리를 검사독재의 서슬 퍼런 칼날이 대신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대표는 "독재란 곧 '생각의 독점'을 뜻한다. 독재 권력의 통치는 언제나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상대를 악마화하는 것에서 시작했다"며 "'지금을 군부독재 시절과 비교할 수 있냐'는 물음에 대한 답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대표 단식에 대해 "명분도 실리도 별로 없다. 공감을 얻기도 어렵다"며 "지금 단식을 멈춰달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민주당 의원으로서 매우 마음이 불편하며 난감하고 착잡하다. 가서 (이 대표를) 뵙고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하나 마음이 전혀 내키지 않는 걸 짐짓 아닌 척 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물론 윤석열 대통령의 실정과 폭정이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이지만, 그렇다고 단식이 윤 대통령의 폭주와 독단을 제어하는 데 유효·적절하지도 않은 것 같다"며 "그럴수록 민심을 얻고 스마트하게, 유능한 방법으로 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정치인들의 모습이 그렇듯이 병원에 실려 가는 광경이 그다지 당당해 보이지 않고 비루해 보이기까지 한다"며 "나아가는 것도 용기겠지만 멈추고 뒤로 물러서는 것도 때로는 더 큰 용기"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 대표는 무기한 단식 농성을 하면서 ▲민주주의 훼손을 멈추고 민심과 소통할 것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천명할 것 ▲국정의 전면적 쇄신과 개각을 단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 대표의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전무해보이는 가운데, 이 대표의 단식을 장기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