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버스랩, 퀴즈톡 기능 개선 완료... 해외 진출 속도 낸다
▷ 퀴즈톡 발전 저해하는 수수료 문제, 해결 완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블록체인 퀴즈 리워드 플랫폼 ‘퀴즈톡’을 운영하고 있는 큐버스랩이 퀴즈톡의 기능을 개선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유저들이 만드는 퀴즈는 블록체인 상의 저장소에 등록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 발생하는 수수료 문제도 해결되었는데요.
사실 기존에 퀴즈를 블록체인 상의 저장소에 등록하는 서비스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였으나, 문제는 수수료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상용화시켰을 경우, 퀴즈톡에 등재된 약 190만 개의 퀴즈를 메인넷에 등록하기 위해선 엄청난 규모의 이더리움 수수료가 필요한데요. 이를 큐버스랩이 이번에 해결했습니다.
아울러, 큐버스랩은 동일한 이유로 실제 서비스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광고 노출 내역을 블록체인 상의 저장소에 등록하는 기능’ 역시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큐버스랩은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기술 접목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올해 2분기 큐버스랩은 AI퀴즈 시스템과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와의 B2B 비즈니스 협력을 통해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습니다.
또한, 2024년 상반기 출시를 앞둔 ‘QTING’(큐팅)을 기획하고, 기존의 퀴즈톡 앱의 장점과 재미요소를 가미한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로서 이를 통해 더 다양한 유저풀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큐버스랩은 해외 진출에도 속도를 더하고 있습니다. ‘큐티콘’을 향후 다양한 생태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퀴즈톡 미국 버전 외에도 동남아 버전도 준비 중에 있는데요.. 현재 큐티콘은 국내 3대 거래소인 빗썸, 업비트, 코인원, Gate io에 상장되어 있으며 해외 거래소 상장도 적극 추진 중에 있습니다.
퀴즈톡 관계자는 “퀴즈라는 콘텐츠는 전세계 어느 곳이든 통용될 수 있고, 재미와 지식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콘텐츠”라며, “큐버스랩은 사람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가장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퀴즈 서비스를 다양한 재미요소에 접목해 국적과 연령을 초월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