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채권보다는 국내 예금이 낫다...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 '소극적'
▷ 6월 기준 개인투자자 해외 증권 투자 -7.2억 달러 순회수
▷ 시장 불확실성에 환율 부담까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국내 예금 각광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내국인들의 해외 증권투자가 소극적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에 투자하는 주식과 채권의 규모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10월 중, 내국인 투자자들은 해외 증권을 순회수하다가 11월 이후로 순투자세가 재개되었습니다. 해외 증권을 팔다가 11월부터 다시금 구매하기 시작한 건데요. 월 순투자 규모는 올해 1월 기준 36.9억 달러, 2월 24.8억 달러, 3월엔 30.2억 달러,4월엔 규모가 크게 감소한 17.5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하향세를 그리고 있는 셈입니다.
이를 종합해보면, 2015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의 장기 평균(월 52.9억 달러)에는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일반정부(공적연금 등)의 해외 증권 투자 규모는 월 평균 21.9억 달러로, 장기 평균(월 15.5억 달러)을 넘어선 반면, 민간 투자자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금취급기관은 올해 3월~4월 중 단기채를 중심으로 순회수세로 전환되었고, 보험사/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은 4월에 순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개인투자자의 경우 해외 증권 투자 규모가 20203년 5월 기준 -6.3억 달러, 6월에는 -7.2억 달러의 순회수를 나타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지난해 11월부터 국가별로 미국, 중국, 홍콩 투자를 순회수했으며, 유럽과 엔저를 반영하듯 일본에 대해선 순투자세를 보였습니다. 즉, 정부와 달리 개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민간 투자자들은 해외 증권으로부터 투자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셈입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에 대한 배경으로 ‘시장 불확실성 확대’, ‘원화 약세 및 환헷지 비용 증가’, ‘개인 투자심리 위축’ 등을 거론했습니다. 먼저, 글로벌 경기침체의 불확실성에 흔들리는 해외 증권 시장으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은 해외 증권 대신 국내예금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불안한 시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데다가 고금리까지 보장되는 예금이 투자자 입장에선 훨씬 더 매력적이란 겁니다. 2023년 4월 기준, 국내 정기예적금 잔액은 1,012.4조 원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아울러, 보험사 및 증권사들은 수익률을 보존하기 위해 부동산, SOC(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 등을 해외 증권의 대체제로 선택했습니다.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환헷지 비용이 증가하는 등 ‘환율’ 관련 부분의 부담이 증가한 것도 한 몫을 했습니다. 10일 오전 11시 기준 원달러 환율은 약 1,303원으로,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래 시점의 환율을 현재 시점으로 갖고 와 환율을 계산하는 ‘환헷지’ 비용도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내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익금을 원화로 환전할 때 여러모로 손해를 보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가계 순자산이 감소해 투자 여력이 줄어든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해외 증권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도 그 높은 가격이 신규 투자자들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AI 외의 뚜렷한 테마주가 없어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투자를 견인할 만한 요소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눈에 띄는 건, 내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패턴이 변화했다는 겁니다. 기존엔 가격이 상승한 종목을 신속하게 사들이는 일명 FOMO(Fear Of Missing Out), ‘추격 매수’가 우세했다면, 최근엔 고점에서 차익을 실현하려는 성향이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미국 국채 초장기물을 추종하는 ETF(Exchange Traded Fund)와 나스닥 지수/반도체 종목 역추종 ETF 등이 4~6월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지난 6월 기준 외국인들은 국내 상장주식 3,220억 원을 순매도했고, 상장채권 2조 540억 원을 순투자하여 총 1조 7,320억 원의 순투자세를 보였습니다.
주식은 3개월 만에 순매도로 전환되었고, 채권이 4개월 연속 순투자를 기록하면서 강세를 보였는데요. 6월말 기준 외국인은 국내 상장주식의 691.7조 원(시가총액의 26.9%), 상장채권 242.8조 원(상장잔액의 9.9%)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934.5조 원의 상장증권을 갖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