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채권보다는 국내 예금이 낫다... 내국인 해외 증권투자 '소극적'
▷ 6월 기준 개인투자자 해외 증권 투자 -7.2억 달러 순회수
▷ 시장 불확실성에 환율 부담까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국내 예금 각광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내국인들의 해외 증권투자가 소극적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제금융센터의 ‘최근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에 투자하는 주식과 채권의 규모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9~10월 중, 내국인 투자자들은 해외 증권을 순회수하다가 11월 이후로 순투자세가 재개되었습니다. 해외 증권을 팔다가 11월부터 다시금 구매하기 시작한 건데요. 월 순투자 규모는 올해 1월 기준 36.9억 달러, 2월 24.8억 달러, 3월엔 30.2억 달러,4월엔 규모가 크게 감소한 17.5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하향세를 그리고 있는 셈입니다.
이를 종합해보면, 2015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의 장기 평균(월 52.9억 달러)에는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일반정부(공적연금 등)의 해외 증권 투자 규모는 월 평균 21.9억 달러로, 장기 평균(월 15.5억 달러)을 넘어선 반면, 민간 투자자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금취급기관은 올해 3월~4월 중 단기채를 중심으로 순회수세로 전환되었고, 보험사/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은 4월에 순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개인투자자의 경우 해외 증권 투자 규모가 20203년 5월 기준 -6.3억 달러, 6월에는 -7.2억 달러의 순회수를 나타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지난해 11월부터 국가별로 미국, 중국, 홍콩 투자를 순회수했으며, 유럽과 엔저를 반영하듯 일본에 대해선 순투자세를 보였습니다. 즉, 정부와 달리 개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민간 투자자들은 해외 증권으로부터 투자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셈입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에 대한 배경으로 ‘시장 불확실성 확대’, ‘원화 약세 및 환헷지 비용 증가’, ‘개인 투자심리 위축’ 등을 거론했습니다. 먼저, 글로벌 경기침체의 불확실성에 흔들리는 해외 증권 시장으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은 해외 증권 대신 국내예금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불안한 시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데다가 고금리까지 보장되는 예금이 투자자 입장에선 훨씬 더 매력적이란 겁니다. 2023년 4월 기준, 국내 정기예적금 잔액은 1,012.4조 원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아울러, 보험사 및 증권사들은 수익률을 보존하기 위해 부동산, SOC(도로,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 등을 해외 증권의 대체제로 선택했습니다.
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환헷지 비용이 증가하는 등 ‘환율’ 관련 부분의 부담이 증가한 것도 한 몫을 했습니다. 10일 오전 11시 기준 원달러 환율은 약 1,303원으로,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래 시점의 환율을 현재 시점으로 갖고 와 환율을 계산하는 ‘환헷지’ 비용도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내국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익금을 원화로 환전할 때 여러모로 손해를 보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가계 순자산이 감소해 투자 여력이 줄어든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해외 증권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도 그 높은 가격이 신규 투자자들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AI 외의 뚜렷한 테마주가 없어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투자를 견인할 만한 요소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눈에 띄는 건, 내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패턴이 변화했다는 겁니다. 기존엔 가격이 상승한 종목을 신속하게 사들이는 일명 FOMO(Fear Of Missing Out), ‘추격 매수’가 우세했다면, 최근엔 고점에서 차익을 실현하려는 성향이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미국 국채 초장기물을 추종하는 ETF(Exchange Traded Fund)와 나스닥 지수/반도체 종목 역추종 ETF 등이 4~6월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지난 6월 기준 외국인들은 국내 상장주식 3,220억 원을 순매도했고, 상장채권 2조 540억 원을 순투자하여 총 1조 7,320억 원의 순투자세를 보였습니다.
주식은 3개월 만에 순매도로 전환되었고, 채권이 4개월 연속 순투자를 기록하면서 강세를 보였는데요. 6월말 기준 외국인은 국내 상장주식의 691.7조 원(시가총액의 26.9%), 상장채권 242.8조 원(상장잔액의 9.9%)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934.5조 원의 상장증권을 갖고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