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회복세에도 못 웃는 빌라 단독 집주인들...이유는?
▷주택매매량 14.6% 감소...2006년 이후 가장 적은량
▷빌라 등 비아파트 거래량 급격히 줄어든 탓
▷환금성 좋지 않고 시세차익도 적어...특례보금자리론도 영향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들어 5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단독·다세대·다가구·연립 등 비(非)아파트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5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주택매매 거래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해 1~5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22만2016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25만9956건) 14.6% 감소한 것이며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1~5월 기준)이래 가장 적은 거래량입니다.
이 중 전국 단독·다가구와 연립·다세대의 매매 거래량은 각각 2만 3542건, 3만4659건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38.8%, 47.1% 하락했습니다.
이처럼 비(非)아파트가 외면받는 이유는 최근 발생한 전세사기와 낮은 투자가치, 환금성 등이 꼽힙니다.비(非)아파트 중심으로 전세사기가 나타나면서 수요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아파트와 달리 환금성이 좋지 않은데다 시세차익도 크지 않아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발길을 아파트로 돌리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빌라는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 상승 여력도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현재 시장에서는 큰 메리트가 없다"며 "아파트 값이 계속 하락하면서 빌라 매수 수요가 떨어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가격 하방 압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세사기 후폭풍과 함께 지난 2월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이 아파트 쏠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달 펴낸 '특례보금자리론 시행 이후 주택 거래 양상 분석' 보고서를 보면 올해 2월부터 5월까지 전체 주택 매매거래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76.5%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2021년 66.5%, 2022년 61%에 비해 10%p 이상 높아진 수치입니다. 정책 대출상품 출시 이후 아파트 쏠림이 더 심해진 셈입니다.
김성환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택 매매거래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올 2~5월 3억원 초과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액이 전년 대비 12조8000억원 가량 증가했다"며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인 9억원 이하 아파트의 경우 건수와 거래액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