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전세 가격 낙폭 둔화…”2024년엔 반등할 것”
▷주택종합 매매가격, 지난달과 비교해 하락폭 축소
▷주택 전셋값도 낙폭 줄여…”부동산 추가 규제 완화 필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전국 주택가격 및 전세 가격 낙폭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전국 주택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1.15%로
지난달(-1.49%)과 비교해 하락폭이 축소됐습니다. 전국
주택 가격은 지난해 12월 -1.98%였고 올해 들어 1월 -1.49%, 2월 -1.15%을
기록했습니다.
수도권(-1.86%→-1.38%) 중 서울(-0.80%)은 구축 대단지 위주로, 경기(-1.82%)는 하남∙수원∙화성시 등 신도시 위주로, 인천(-1.16%)은 계양∙부평∙연수구 지역내 대단지 구축 위주로 하락 지속중이나,
일부 주요 지역 선호단지 중심으로 급매물 소진되며 하락폭 축소 및 완만한 상승세를 나타나는 등 지난달과 비교해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서울 강북 14개구는 △도봉구(-0.99%)△동대문구(-0.90%)△중랑구(-0.85%) △광진구(-0.82%) 등 위주로 하락했습니다. 서울 강남 11개구는 △금천구(-1.35%)△강서구(-1.21%)△영등포구(-1.03%) △강동구(-1.03%) 등 위주로 하락했습니다. 지방은 △대구(-1.74%)△부산(-1.48%)△경남(-0.74%)△충북(-0.74%) 등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습니다.
전세 가격 하락세도 둔화되는 모습입니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지난달 1.80% 하락해 전월(-2.29%) 대비 0.49%p 낙폭을 줄였습니다. 서울은 2.16% 하락했고, 인천은 1.99%, 경기도는 2.81% 내림세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월세는 0.29% 내려 전월(-0.33%) 대비 낙폭이 감소했습니다. 경기는 양주‧과천‧하남시 등 입주 물량 영향 있는 지역 위주로 0.55%, 인천은 중‧서‧연수구 위주로 0.27% 하락했습니다.
한편 KB금융연구소가 발표한 '2023
KB 부동산 보고서'는 전국 주택매매가격이 올해 하락세를 보인 후 내년부터 차츰 반등할
것이란 전망을 내왔습니다. 연구소는 최근 거래가 급감하면서 체감 경기는 침체하나, 주택 가격이 일정 수준 하락할 경우 수요가 회복되면서 가격을 지지할 것이라 짚었습니다.
다만 향후 전국 주택매매가격에
대해서는 부동산 전문가뿐만 아니라 부동산 중개업소, PB 모두
2024년에 반등할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얼어붙은 주택시장이 반등하기 위해
서는 주택담보대출 규제
추가 완화 등 부동산 관련 추가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