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에이즈 신규 환자 1,066명... 91명 늘어

▷ 신규 감염인 중 92.3%가 남성... 신규 감염인 중 젊은 세대가 66.4%
▷ 생존 에이즈 감염인 15,880명, 증가 추세
▷ 가능한 한 빨리 검진 받고 치료 받아야

입력 : 2023.06.29 14:20 수정 : 2023.06.29 14:32
지난해 우리나라 에이즈 신규 환자 1,066명... 91명 늘어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에이즈(HIV,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새롭게 신고된 감염인은 1,06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도(975)보다 9.3%(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적 별로는 우리나라 국민이 825명으로 과반수(77.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외국인은 241(22.6%)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120.7%에서 점차 증가하는 모양새입니다.

 

성별로 구분하면, 에이즈 신규 감염자 1,066명 중 984명(92.3%)이 남성이었습니다. 반면 여성은 82(7.7%)으로 나타났습니다.

 

에이즈는 동성애, 이성애를 가리지 않고 감염되는 질병입니다만, 보통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문성교를 하면 감염이 더욱 용이합니다. 삽입을 하는 사람보다 삽입을 받는 사람이 에이즈에 더 취약한데요.

 

이러한 특성상, 에이즈는 남성간 동성애를 통해 감염되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신규 감염자의 대부분이 남성이라는 점이 이러한 사실을 더욱 지탱해주는 듯합니다. 질병관리청의 역학조사에 응답한 사람 582명 중, 577(99.1%)이 성접촉으로 인해 감염되었다고 응답했으며, 동성 간 성 접촉 응답은 348(60.3%)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 별로는 30대가 352(34.9%)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20 293(31.5%), 40148(16.5%) 등의 순이었습니다. 20~30대 젊은 층이 전체 신규 에이즈 감염인의 66.4%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말 기준 우리나라 국민 중 생존해 있는 에이즈 감염인은 15,880명으로 전년 대비 683(4.5%) 늘었습니다. 이 중 60세 이상 에이즈 감염인은 2,296(18.5%)으로 매년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曰 에이즈는 치료제 개발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해진 만성 감염질환인만큼 국가 정책도 예방 및 조기 발견/치료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에이즈 퇴치를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성접촉을 피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하게 검사받는 것이 중요한 예방책


신체의 면역세포를 파괴시키는 에이즈는 상당히 위험한 질병입니다. 감염 초기에엔 체중감소, 피로, 식욕부진, 불면증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지어 악성종양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보통 10~12년 후에는 사망하는데요.

 

감염경로는 앞서 언급했듯 안전하지 않은 형태의 성접촉이 대부분입니다만, 감염된 주삿바늘, 감염된 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혈액으로도 감염이 가능합니다. , 혈액에 의한 감염사례는 2006년부터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에이즈의 가장 무서운 점은 완치법이 아직까지 없다는 겁니다. 일단 감염되면 에이즈 바이러스를 평생 몸에 품고 살아야 하는데요.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6개월 이내에 바이러스 통제가 가능합니다.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해 체내 바이러스 수치를 200개 미만으로 낮출 수 있고, 바이러스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줄일 경우엔 전파 위험도 급격히 줄어듭니다. 성접촉, 주사기 등 직접 접촉, 임신과 출산을 통한 수직감염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완치가 불가능해도 치료를 통해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에이즈, 에이즈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은 그리 좋지 못한듯합니다. 질병관리청의 ‘2021년 에이즈에 대한 지식/신념/태도 및 행태조사에 따르면, 에이즈에 대한 자유 연상 내용으로 불치병’, ‘성병’, ‘동성애’, ‘부적절한’, ‘등 부정적인 시각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에이즈 감염인과 변기를 같이 사용할 경우,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48.1%, ‘에이즈 감염인과 키스를 할 경우,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고 여기는 비율은 53.7%, ‘에이즈 감염인을 문 모기에 물리면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73.3%로 나타나는 등 에이즈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다수였습니다.

 

에이즈와 같은 물잔으로 물을 마신다거나, 그의 옆자리에 앉는 것이 두렵다는 인식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는데요.

 

결국 중요한 건 예방입니다. 질병관리청의 관리지침에 따르면, 에이즈 예방에 가장 핵심적인 건 고위험 성행위를 지양하는 겁니다. , 콘돔이 예방에 큰 역할을 맡고 있으나 이를 통해 완전히 에이즈 감염을 차단할 수는 없습니다.

 

에이즈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성접촉 이전/이후로 나뉩니다. 먼저, ‘PrEP’(Pre-Exposure Prophylaxis)라 하여 성접촉 이전에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의 복용하는 겁니다. 이 경우 성접촉으로 인한 에이즈 감염을 약 99%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성접촉 후 ‘PEP’(Post-Exposure Prophylaxsis), 에이즈 혈청전환(seroconversion)이 일어나기 전에 가능한 빨리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을 사용하는 겁니다. 에이즈는 성접촉 이후 24~36시간 이내에 빠른 속도로 감염되기에 최소한 72시간 이전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에이즈 혈청전환이 끝나 감염이 이루어진 상태라면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