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엠폭스’ 국내 10번째 확진자 발생…지역사회 감염 ‘우려’

▷대구 거주하고 해외여행 이력 없어
▷6번 환자 이후로는 모두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

입력 : 2023.04.14 11:30 수정 : 2023.04.14 11:30
‘엠폭스’ 국내 10번째 확진자 발생…지역사회 감염 ‘우려’ 출처=WHO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엠폭스(원숭이두창) 확진자가 1명 추가로 발생해 누적 확진자가 10명으로 늘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14일 대구에 거주 중인 내국인이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 환자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환자는 지난 12일 질병관리청 콜센터를 통해 엠폭스 검사를 받고 싶다고 문의한 내국인입니다. 해당 확진자는 증상 발현 전 3주 이내 해외여행 이력이 없어 지역사회 감염 사례로 추정됩니다.

 

질병관리청은 잠복기 내 위험 노출력이 있고 의심 증상도 확인돼 의심 환자로 분류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13일 위기경보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성 접촉 등 밀접접촉으로 전파되는 감염병 특성상 감염원 추적이 어려워짐에 따라 당국이 조기에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엠폭스에 감염되면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이 동반됩니다. 보통 증상 발현 1~4일 후 발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엠폭스는 성적 접촉이나 피부 접촉 등이 주 감염경로입니다. 단순 공기 중 비말() 전파 가능성은 낮습니다. 현재 유행 중인 엠폭스의 치명률은 0.13% 정도로 보고되고 있고, 중증도 역시 1% 미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엠폭스 환자는 지난해 6월 처음 발생했습니다. 5번째 환자까지는 모두 해외유입 또는 관련 환자였으나 지난 7일 확진된 6번 환자 이후로는 모두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