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또 다시 국내감염... 엠폭스 감염경로는?

▷ 18일 기준, 엠폭스 환자 3명 추가 발생... 해외여행 이력 없어
▷ 감염자와의 성접촉 특히 주의해야

입력 : 2023.04.18 16:20 수정 : 2023.04.18 16:18
또 다시 국내감염... 엠폭스 감염경로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18, 국내에서 엠폭스 환자가 3명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이로써 국내에선 총 16명의 엠폭스 확진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번에 새로 발생한 환자들은 모두 최근 해외 여행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신고된 14번째 환자의 경우, 서울에 거주 중인 내국인이며, 15번재 환자는 경북에 거주 중인 외국인, 16번재 환자는 경기도에 살고 있는 내국인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두 피부병변 등 의심증상이 발현했으며,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으로 최종 확진되었는데요. 3명 모두 격리병상에서 입원 치료 중으로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입니다.

 

문제는 이들 모두가 최초 증상 발현일 이전 3주간 해외여행력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는 국내에서 엠폭스 전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질병당국은 감염경로와 접촉자에 대한 상세 역학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엠폭스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는 의료진 및 대국민 대상 신고 독려를 통한 신속 진단에 따른 것으로 과도한 불안보다는 감염예방수칙 준수와 의심증상 발생 시 신속한 신고 등 국민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최근 이곳저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엠폭스 환자는 적극적인 신고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불안을 진화하려는 의도가 짙습니다.


#엠폭스의 감염경로는?

 

이러한 상황에서 엠폭스 감염을 피하려면 무엇보다도 주의해야 할 건 성접촉입니다. 엠폭스는 감염된 사람/동물의 혈액, 체액, 피부 접촉은 물론 의복, 기침 등 비말을 통한 전파가 가능합니다. 임신부의 경우,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엠폭스가 전이되는 수직감염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엠폭스는 공기 상의 감염 경로도 확인되었으나, 흔하지는 않다고 하는데요. 특히, 엠폭스 감염자와 성접촉을 했을 경우, 감염되지 않는 게 어려울 정도이기 때문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염 증상은 발열, 오한, 피로, 근육통, 두통 등으로 나타나며, 보통 감염 1~4일 후에 발진 증상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얼굴, , , , 가슴, 항문생식기 인근에서 나타나는데요.

 

서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의 치명률은 1% 미만으로 2주에서 4주 이내에 자연 치유도 가능합니다만, 중앙아프리가 계통 엠폭스의 치사율은 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국내에 마련되어 있는 치료제는 테코비리마트라는 항바이러스제이며, 서울의료원, 부산대 병원을 비롯해 전국 대형병원에 배부되어 있습니다. 백신의 경우, 3세대 두창백신(JYNNEOSTM)이 도입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질병당국이 엠폭스로 인해 감염병 위기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재상향한 만큼, 개인적인 위생 수칙을 준수하는 건 물론, 의심증상 발생 시 보건소에 즉시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