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美 5월 부동산, 2011년 이후 최대폭으로 떨어져

▷ 지난 5월 기준, 미국 부동산 평균값 39만 6,100만 달러
▷ 지역 별로 편차 있어... 서부/남부는 ↓, 북동부/중서부 ↑
▷ 美 주택 모기지 금리 불안정

입력 : 2023.06.23 15:40 수정 : 2023.06.23 15:54
[외신] 美 5월 부동산, 2011년 이후 최대폭으로 떨어져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의 부동산 시장이 침체를 겪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CNN에 따르면, 미국의 주택 가격은 201112월 이후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5월 기준, 미국의 부동산 평균값은 396,1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1% 하락했습니다.

 

가격이 떨어진 탓인지 단독주택, 연립주택 등 주택의 판매는 4월보다 0.2% 증가했습니다만, 연간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4% 감소했습니다. 추세로 보아 수요가 소폭 늘었다고 해도,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부진한 셈인데요.

 

현재 미국의 부동산 시장은 지역적으로도 그 차이가 크다고 CNN이 전했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포틀랜드 등이 자리한 미국 서부 부동산이 5.7% 떨어지면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고, 그 다음이 휴스턴, 뉴올리언스 등이 있는 남부(-2.7%)였습니다. 반면, 핵심 시설이 밀집해 있는 북동부(워싱턴, 뉴욕)와 샌프란시스코 등 중서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각각 2.5%, 1.1% 올랐습니다.

 

로렌스 윤(Lawrence Yun) 미국부동산협회(NAR) 선임 경제학자는 모기지(Mortgage,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부동산 거래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Mortgage rates heavily influence the direction of home sales”)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기지) 금리는 몇 달 연속으로 견조한 부동산 거래를 이끌었다”(Relatively steady rates have led to several consecutive months of consistent home sales”)고 이야기했는데요.

 

현재, 미국의 모기지 금리는 부동산 시장의 부진을 반영하듯 매우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는 상황입니다.

 

CNN에 따르면, 올해까지 모기지 평균 금리는 6.09%~6.79%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변동되었습니다.

 

4월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현지시각으로 61,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금리가 전주 6.57%에서 6.79%로 크게 증가했는데요.

 

흥미로운 점은, 5월에 거래된 미국 부동산의 약 3분의 1이 정가 이상의 가격으로 팔렸다는 겁니다. 부동산 평균 가격과 수요가 동시에 하락하고 있다는 상황을 감안하면, 이례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로렌스 윤 NAR 선임 경제학자는 단순한 재고부족 때문이다”(That is due simply to lack of inventory”)라고 설명했습니다.

 

NAR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미국 부동산의 주택 총재고는 108만 호로 나타났습니다. 전년 대비 6.1% 감소한 규모인데요.

 

이를 종합해보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 등에선 부동산 수요가 견조세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부동산 시장의 총체적인 부진 속에서도, 코로나19로 막힌 주택 공급이 일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발휘한 셈입니다.

 

다만, 부동산 재고가 적은 상황과 함께 경제성 문제’(“affordability challenges”)가 남아 있습니다.

 

부동산 전문 사이트 realtor.com의 선임 경제학자 다니엘 헤일(Danielle Hale) 올해 부동산을 판매할 사람이 되는 부동산 소유자들이 줄어들면서, 구매자들의 앞길은 험난할 것”(With fewer homeowners poised to become sellers in 2023, buyers have a tough road ahead”)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부동산은 2023년에 약 420만 채 팔릴 것이며, 이는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연간 통계다”(Home sales are expected to tally roughly 4.2 million in 2023, their lowest annual total since 2012”)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국의 부동산 가격 역시 지속적인 침체를 겪고 있으나, 점차 하락폭이 줄어드는 모양새입니다.

 

부동산시장연구센터에 따르면, 6월 셋째주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습니다.

 

6월 둘째주보다는 하락폭이 축소되었는데요. 지역 별로 나누어 보면, 미국과 유사하게 수도권의 매매가격은 0.02% 상승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

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

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

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

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