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인기몰이... 청년희망적금은 4명 중 1명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 41만 6000명으로 집계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의 대부분은 20대 청년층

입력 : 2023.06.22 17:32 수정 : 2023.06.22 17:3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5년간 매월 70만원 납입으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630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는 모두 416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고, 매월 정부에서 24000원을 보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19~64세 청년 중 총급여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를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가입신청은 21일까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진행됐지만, 22일과 23일은 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본인의 사정에 따라 언제, 얼마를 납입할 지 가입기간 중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이 연 10%의 이자에도 불구하고,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고 있어 이번 청년도약계좌 역시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입니다.

 

22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제출받은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가입자는 2895536명이었지만, 올해 5월 말 기준 중도 해약자는 68487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2434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159850, NH농협은행 278261명 순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19중도 해지율이 27.9%로 가장 높았던 반면, 가입 상한 연령인 34의 중도해약률은 21.2%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 20대 청년일수록 중도 해지 건수가 많았는데, 이는 저축여력이 부족한 데다 지출변수도 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경제활동을 본격화하는 30대는 경제적인 여유를 갖춘 세대인 만큼 중도 해지 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에 강 의원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의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직적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