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는 인기몰이... 청년희망적금은 4명 중 1명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 41만 6000명으로 집계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의 대부분은 20대 청년층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5년간 매월 70만원 납입으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6시 30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는 모두 41만 6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고, 매월 정부에서 2만4000원을
보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19~64세 청년 중 총급여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를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가입신청은 21일까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진행됐지만, 22일과 23일은 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본인의 사정에 따라 언제, 얼마를 납입할 지 가입기간
중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이 연 10%의 이자에도 불구하고,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고 있어 이번 청년도약계좌 역시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입니다.
22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제출받은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가입자는 289만5536명이었지만, 올해 5월
말 기준 중도 해약자는 68만 487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24만34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15만9850명, NH농협은행
27만8261명 순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19세’ 중도 해지율이 27.9%로 가장 높았던 반면,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약률은 21.2%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 20대 청년일수록 중도 해지 건수가 많았는데, 이는 저축여력이 부족한 데다 지출변수도 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경제활동을 본격화하는 30대는 경제적인 여유를 갖춘 세대인 만큼 중도 해지 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에 강 의원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의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직적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