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는 인기몰이... 청년희망적금은 4명 중 1명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 41만 6000명으로 집계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자의 대부분은 20대 청년층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5년간 매월 70만원 납입으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6시 30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자는 모두 41만 6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고, 매월 정부에서 2만4000원을
보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19~64세 청년 중 총급여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를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가입신청은 21일까지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진행됐지만, 22일과 23일은 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본인의 사정에 따라 언제, 얼마를 납입할 지 가입기간
중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출시된 청년희망적금이 연 10%의 이자에도 불구하고, 중도 해지자가 70만명에 육박하고 있어 이번 청년도약계좌 역시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입니다.
22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제출받은 금융감독원의 자료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이 출시된 지난해 2월 당시 가입자는 289만5536명이었지만, 올해 5월
말 기준 중도 해약자는 68만 487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이 24만34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15만9850명, NH농협은행
27만8261명 순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만 19세’ 중도 해지율이 27.9%로 가장 높았던 반면, 가입 상한 연령인 ‘만 34세’의 중도해약률은 21.2%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 20대 청년일수록 중도 해지 건수가 많았는데, 이는 저축여력이 부족한 데다 지출변수도 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경제활동을 본격화하는 30대는 경제적인 여유를 갖춘 세대인 만큼 중도 해지 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에 강 의원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의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수시로 상품을 점검해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실직적 중장기 자산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