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6월 열흘간 수출 153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2% 증가

▷ 지난 5월 같은기간 대비 수출은 ↑, 수입은 ↓
▷ 승용차 수출의 존재감 반도체에 육박
▷ 반도체 수출 부진 등 악재도 여럿

입력 : 2023.06.12 11:20
6월 열흘간 수출 153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2% 증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61일부터 610일까지 우리나라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억 달러 증가(1.2%)153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같은 기간(51~ 510)과 비교해보면, 8억 달러 상승한 셈인데요. 6월 초에 수출의 회복을 예상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전망대로 흘러가는 듯합니다.

 

기존부터 꾸준히 부진을 겪고 있던 반도체 대신 승용차와 선박, 자동차부품 등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 때문입니다.

 

같은 기간 수입도 수출과 마찬가지로 전년 동기 대비 43.5억 달러 감소(-20.7%)167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5월 수입의 감소폭(-5.7%)보다는 커졌으나, 여전히 수입이 수출을 상회하면서 6월 열흘간 무역수지는 14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6월 1일 ~ 6월 10일 주요 수출입 품목 현황 (출처 = 관세청)

 

 

61 ~ 610일까지의 수출 품목 중 승용차수출금액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37.1% 성장한 약 148천만 달러로 드러났습니다. 지난달 같은 기간의 승용차 수출금액이 13 5천만 달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 수출 산업에서 승용차 산업의 존재감은 반도체에 육박하는데요. 아울러, 같은 기간 동안 선박의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51일부터 10일까지 전년동기대비 49.3% 감소해 2억 달러에 불과했던 선박 수출금액은 6월 같은 기간 동안 161.5% 성장한 1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국가 별 수출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주된 무역 상대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 대한 수출이 소폭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61일부터 10일까지의 우리나라 중국 수출 금액은 약 32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0.9% 감소했습니다만, 지난 5월의 같은 기간보다는 수출금액이 약 53백만 달러 증가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일본, 홍콩, 인도, 베트남 등을 상대로 한 수출금액도 6월 열흘간 늘었는데, 이 중 베트남과 일본의 경우 지난달의 수출 감소세에서 상승세로 반전을 이뤄냈습니다.

 

수입 쪽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보입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 적자에 가장 큰 기여를 했던 에너지 수입금액이 점차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61 ~ 610일간 우리나라의 원유 수입 금액은 약 18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50% 감소한 금액입니다.

 

지난 5월의 같은 기간과 비교해보면 수입 금액은 약 7억 달러 가량 줄어들었습니다. 원유 가격이 꾸준하게 떨어지고 있는 탓입니다. 원유뿐만 아니라 가스, 석탄 등 다른 원자재의 수입 규모도 동반 하락했습니다.

 

다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의 젖줄과 다름없는 반도체 수출의 부진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61일부터 10일까지 반도체 수출금액은 약 21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31.1% 떨어졌습니다.

 

, 승용차와 선박, 자동차부품, 무선통신기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에서 수출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이 중 석유제품의 경우 6월 같은 기간 수출금액은 약 12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5.8% 감소했습니다. 수출주요품목 중 가장 큰 하락폭입니다.

 

호조세를 보였던 국내 조선업에도 과제는 있습니다. 정부가 조선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인력을 유입시켰으나, 이들조차 높은 업무 강도에 지쳐 그만두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조선업이 올해 초에 약 3년치 이상의 안정적인 일감(3,750CGT)을 확보해둔 상황에서 하반기 전망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해운/조선업 2022년 및 2022 4분기 동향과 2023년 전망에 따르면, 경기둔화, 고금리 영향 등으로 선주들의 관망세가 확산되며 (2023년도 조선업은) 위축될 전망이라며, 빠른 시황 회복을 위해서는 국내 조선사들의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한 바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코아스나 이화그룹 3사나 주주들 가지고 노는건 도낀개낀이네 피해주주 구제할 생각이였다면 상장폐지 되기전에 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정리매매 기간에 헐값에 주식사들여 경영권 장악 하려다 차질 생기니 이제와서 피해주주들을 생각하는척 하네 지금이라도 정의 실현 할라치면 이화주주연대에 진심어린 협조를 구해 보는건 어떨지? 세상만사 너무 쉽게 보는 코아스네

2

코아스 어떻게 이화그룹주식을 매집했을까 자기회사도 자본잠식 상태로 빠제허우적되는데 자기이익을 위해 했는데 그게. 잘되지 읺으니깐 이화 그룹주주 연대 들먹이면서. 우리를 보호한다고. 말도 안도는 소리를. 하면서 상장폐지 되기전에 고민하고 주주연대와 이야기하고 해법을 찿아야지 자기들이. 불리하니깐 이제와서 먼소리 하는건지 어처구니 없네 돈에 미쳐가는 사람들은 모든게 돈으로 만보이는법이다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는. 이치를 아직도 모르고있구나 진정으로 자기성찰을 해보시요

3

코아스의 진정성 이슨 사과와 피해복구를 원합니다

4

코아스의 정의는 이화그룹사태로 벼랑에 내몰린 주주들의 피눈물을 밟고서 부르짖는 헛소리에 있고 이화그룹의 정의는 피해주주들을 외면하는곳에 있는가?

5

주주들의 피눈물로 이득을 취하려는 코아스는 반성해야합니다~~~

6

코아스는 언젠가 그대로 돌려받을 것이다. 힘없는 주주들 그것도 정리매매때 인수해놓고 지분모자라니 소액주주연대타령을 해대는구나. 꺼져라.. 이화그룹3사는 마지막 기회다. 진정성 있는 사과와 아직까지 남아있는 이화그룹주주연대 2년 5개월을 버텨온 진성주주들과 협의하고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해라

7

자본완전잠식으로 신규 차입금으로 상폐 정매기간에 이화그룹을 먹어보겠단 심상인데, 본인들 회사먼저 정상화 시켜놓지ㅠㅠ 개수작들그만하고 진실된 사과와 반성이 먼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