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 전월대비 -2.3%, 생산도 -1.4%... 제조업재고율은 130% 넘겨
▷ 가전제품, 의약품 제외한 대부분의 품목에서 소비 줄어
▷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세는 여전하지만 상승폭은 감소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3년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월대비 의복 등 준내구재가 -6.3%,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1.2%, 컴퓨터 등 내구재 -1.7% 등 폭넓은 품목에서 소비가 줄어든 겁니다. 총 감소폭은 전월대비 -2.3%, 전년동월대비 -1.1%입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전월대비 소비가 증가한 품목은 가전제품과 서적/문구, 의약품 등이 있으며, 그
외의 통신기기, 가구, 화장품, 차량연료 등 대부분의 품목은 소비가 줄어들었습니다. 최근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자동차의 소비도 다소 잦아든 모습을 보였는데요.
소매업태 별로 전월대비 연료소매점, 편의점, 대형마트에서 판매가 늘었습니다만, 전문소매점과 슈퍼마켓 및 잡화점, 백화점, 면세점, 무점포소매에선 판매가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소매점에서 판매한 총 경상금액은 52조 4,836억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슈퍼마켓 및 잡화점에서의 소비가 지난해 4월보단 오름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소비와 더불어 생산 역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건설업에서만 회복세를 보였고, 나머지 공공행정, 광공업, 서비스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1.4% 줄었습니다.
광공업 생산 부문에선 반도체조립장비, 평판디스플레이제조용기계 등 ICT 수출 부진으로 인한 생산 감소가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제조업재고는 전월대비 6.2% 늘어났습니다. 재고율은 130.4%로 전월대비 13.25% 올랐으며, 이는 역대 최고 수치입니다.
서비스업 생산의
경우 금융과 보험 생산이 2.0% 늘었습니다만, 도소매 등에서
생산이 줄어들어 전월대비 0.3% 감소한 모습을 보였는데요.
생산이 부진한 건 소비가 위축된 탓이 큽니다. 소비가 위축된 영향은 아무래도 높은 물가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인플레이션 추세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지수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3.7%, 3.1%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총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3.7% 올랐는데요. 상승폭이 절정에 달했던 지난 2022년 말보다는 다소 완화된 흐름이지만, 한 번 치솟은 물가가 떨어질 기미는 쉽게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눈에 띄는 건 전기, 가스, 수도세 등 각종 공공요금의 상승폭입니다. 정부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의 엄청난 규모의 적자를 이유로 공공요금 인상 기조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 16일부터 전기요금을 kWh 당 8월, 도시가스요금은 MJ당 1.04원 요금을 올린 바 있는데요. 요금 인상 이전인 4월 시점에서 도시가스 물가는 무려 32.5%, 전기세는 22.5% 상승한 상황입니다.
5월의 요금인상이 반영되면 서민들의 공공요금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2023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갖아 먼저 공공요금(76.1%)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명 중 7명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심화를 우려하고 있는 셈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