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살림에도 서민들 교육비 못 줄여..."학벌주의 타파해야"
▷하위 20% 가구 절반 이상은 '적자'
▷교육비 3만4282원...지난해보다 35.1% 늘어
▷"우리사회는 개인 능력보다 학벌이 중요한 환경"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하위 20% 가구가 살림살이 적자에도 불구하고 교육비를 1년 전보다 35% 넘게 더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0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가계동향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평균 처분 가능 소득(전체소득-세금 등 비소비지출)은 85만8389원이었습니다. 소비지출은 131만9041원으로, 가구당 월평균 46만1000원가량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31만3000원 적자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적자 폭은 47.2% 증가했습니다.소비지출은 식료품, 의류, 주거, 가정용품, 교통, 통신, 교육, 음식·숙박 등 일반적인 형태의 지출을 의미합니다.
1분위 가구의 1분기 월평균 교육비 지출은 3만4282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898원(35.1%) 늘었습니다.같은 기간 전체 가구의 평균 교육비 상승률은 3.8%였습니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살림'을 사는 서민 가구의 교육비 지출이 평균보다 훨씬 큰 폭으로 늘어난 것입니다.교육비 지출을 세부적으로 보면 정규교육비 지출이 41.4% 늘었고, 학원 및 보습교육 지출도 26.2% 상승했습니다.두 항목 모두 전체 가구를 통틀어 1분위 가구에서 증가 폭이 가장 컸습니다.
정규교육 중에서는 고등교육(2년제 대학 이상 정규 교육기관 교육 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용) 지출이 86.8% 늘면서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학원 및 보습교육 중에는 성인 학원 교육 지출이 182.6% 증가했습니다.
박경양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고문은 "우리사회에서 취업과 승진, 임금의 결정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능력이 아니라 학력이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경쟁에서 이기기위해 필연적으로 교육비 지출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면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중심주의와 학벌주의를 타파하고 개인이 지니고 있는 능력이 중요시 되는 사회풍토를 만드는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