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아파트값 하락폭 축소…시장 연착륙 가시화되나?
▷3월 전국 -0.78…3개월 연속 낙폭 하락세
▷급매물 거래와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영향
▷직방 여론조사 결과 10명 중 6명 “더 떨어질 듯”
									출처=한국부동산원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78로 지난달대비(-1.15%)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낙폭 하락세를 보인 셈입니다. 일부 지역의 급매물이 거래되고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영향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은 한 달 전보다 0.78% 떨어지며 지난달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습니다. 지난해 12월(-2.96%) 이후 3개월 연속 내림세를 줄이고 있습니다. 
수도권(-1.38%→0.89%), 서울(-0.80%→-0.55%)
및 지방(-0.93%→-0.69%)은 하락폭 축소했습니다.
5대광역시(-1.42%→-1.12%), 8개도(-0.57%→-0.42%),
세종(-2.94%→-0.21%)도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급매물
소진과 규제완화 기대로 속도가 줄었다는 것이 부동산원의 분석입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경우 전국이 1.09%, 서울이 -0.72% 하락했습니다. 지난달(-1.62%, -1.08%)보다 낙폭이 감소한 것입니다. 또 빌라가 포함된 연립주택은 전국 -0.33%, 서울이 -0.47% 떨어져 지난달보다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단독주택은 전국 0.07%, 서울 0.08% 하락했습니다.

한편 부동산 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이 앱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0명
가운데 거의 6명은 현재보다 집값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0일 직방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금 집값 상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58.%가 ‘아직 바닥이 아니다. 더
떨어질 것 같다”고 했습니다. 이들이 집값이 더 떨어질 거라
생각한 이유는 ‘최근 1~1년 내 올랐던 가격 상승분이 덜
하락돼서’가 24.4%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전반적으로 경기가 안 좋아서(22.7%) △미분양 적체, 분양시장 저조 등의 분위기 영향(21.5%) △금리가 계속 오를
것 같아서(19.6%) △매수보다 매도 움직임이 더 많아서(10.1%)
순으로 응답이 많았습니다.
직방 관계자는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아직 집값이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해 최근 시장 흐름이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