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아파트값 하락폭 축소…시장 연착륙 가시화되나?
▷3월 전국 -0.78…3개월 연속 낙폭 하락세
▷급매물 거래와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영향
▷직방 여론조사 결과 10명 중 6명 “더 떨어질 듯”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78로 지난달대비(-1.15%)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낙폭 하락세를 보인 셈입니다. 일부 지역의 급매물이 거래되고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영향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은 한 달 전보다 0.78% 떨어지며 지난달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습니다. 지난해 12월(-2.96%) 이후 3개월 연속 내림세를 줄이고 있습니다.
수도권(-1.38%→0.89%), 서울(-0.80%→-0.55%)
및 지방(-0.93%→-0.69%)은 하락폭 축소했습니다.
5대광역시(-1.42%→-1.12%), 8개도(-0.57%→-0.42%),
세종(-2.94%→-0.21%)도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급매물
소진과 규제완화 기대로 속도가 줄었다는 것이 부동산원의 분석입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경우 전국이 1.09%, 서울이 -0.72% 하락했습니다. 지난달(-1.62%, -1.08%)보다 낙폭이 감소한 것입니다. 또 빌라가 포함된 연립주택은 전국 -0.33%, 서울이 -0.47% 떨어져 지난달보다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단독주택은 전국 0.07%, 서울 0.08% 하락했습니다.
한편 부동산 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이 앱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0명
가운데 거의 6명은 현재보다 집값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0일 직방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금 집값 상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58.%가 ‘아직 바닥이 아니다. 더
떨어질 것 같다”고 했습니다. 이들이 집값이 더 떨어질 거라
생각한 이유는 ‘최근 1~1년 내 올랐던 가격 상승분이 덜
하락돼서’가 24.4%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전반적으로 경기가 안 좋아서(22.7%) △미분양 적체, 분양시장 저조 등의 분위기 영향(21.5%) △금리가 계속 오를
것 같아서(19.6%) △매수보다 매도 움직임이 더 많아서(10.1%)
순으로 응답이 많았습니다.
직방 관계자는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아직 집값이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해 최근 시장 흐름이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