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참여자 절반 이상,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절은 필수”
▷찬성 55.88%, 시대에 따라 무임승차 연령 조절 필요
▷반대 20.59%, 일시적인 해결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 마련해야
▷중립 23.53%, 진중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위즈경제가 ‘”올리냐 마냐” 기로에 놓인 지하철 무임 승차’란 제목으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과반수 이상인 55.88%가 무임승차 연령 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 조정은 임시방편으로 현행 기준을 유지하며 다른 해법을 찾아야
한다’라고 반대를 선택한 참여자의 비율은 20.59%였고, 중립은 23.53%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2월 17일부터 3월 7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4명이 참여했습니다.
#찬성 55.88%, “시대의
변화에 맞춰 무임승차 연령도 조절해야”
이번 토론의 참여자 중 절반이 넘는 55.88%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A는 “시대에 따라
인구 연령 비율이 계속해서 변하는데, 정책과 제도가 그대로라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세대 갈등으로 변질되기 전에 연령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밖에도 “최근 노인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대를 높여야 한다”, “적자 해결을 위해서는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필수적이다. 안 그러면 지금의 청년들은 미래가 없다” 등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반대 20.59%, “연령
조정은 일시적, 다른 해법을 찾아야”
반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을 반대하는 비율은 20.59%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지하철 만성 적자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참여자 B는 “소득이 제한적인 노인들에게 교통비 조차 부담이 될 수 있다”면서“무임승차 이슈가 노인들 복지에 중요한 부분인 만큼 정책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노인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중립 23.53%, 지금이야
말로 진중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
한편, 지하철 무임승차 논란을 세대갈등으로 끌고가지 말고 진중한 논의를
통해 해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중립적인 의견도 23.53%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C는 “적자나는
것도 문제지만, 노인분들도 결국 사회 구성원이니 진중한 토론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고, 참여자 D는
“오랫동안 쌓여있던 문제인 만큼 이번에는 제대로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밖에도 ‘해외 사례 도입’, ‘정치인들의 조속한 대응’ 등을 요구하는 다양한 의견이 모였습니다.
이번 토론을 통해 많은 이들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한국의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40년 고령 인구(65세 이상)가 35%에 달해, 인구의
3분의 1이 지하철 무임승차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이는 심각한 지하철 적자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필요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연령 조정은 지하철 적자를 해소시키기 보다 또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1년 37.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5%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6~75세 노인빈곤율은
34.6%, 76세 이상은 55.1%에 달합니다.
이처럼 노인빈곤율이 높은 상황에서 대책없이 무임승차 기준 연령을 높이게 되면 노인들의 이동권이 제약되면서 지하철 이용률도
반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노인들의 고립을 낳고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도 “무임승차 기준연령을 높이면 교통비 부담 때문에
집에만 있어야 할 노인이 적지 않을 것”이라면서 “노인들이
지하철을 타고 돌아다닐수록 국가 입장에선 건강보험비 지출이 줄고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무임승차 문제는 오랫동안 논의돼 왔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마련이 되지 않고 있어 최근 세대갈등으로도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청년층과 노년층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절충안 제시가 필요할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