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대구시 노인 무임승차 비판에...홍준표 "노인 무상 이동권, 무상급식처럼 정착해야"

▷홍준표 대구시장, “노인 무상 이동권 보장정책, 사회적 복지정책의 일환되야”
▷노인 무임승차에 대한 누리꾼의 반응 엇갈려

입력 : 2023.02.22 10:47 수정 : 2023.02.22 10:55
 

 


(출처=페이스북 홍준표 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노인 무임승차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이 노인 무상 이동권 보장정책도 사회적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정착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난 21일 홍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무상급식 논쟁이 한창일 때 소득따라 차등급식을 하자는 내 주장에는 별 다른 호응이 없었고, 좌파들로부터는 애들 밥그릇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는 모욕적인 비난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도 그렇게 하고 일본도 대부분 급식비를 받는다면서 이번 노인 무상 이동권을 보장하겠다는 대구시 정책을 두고는 일본의 노인 할인정책을 내세워 이를 비판하는 견해들이 다수 있다. 참 형평에 어긋나는 주장들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애들한테는 무상을 적용하고, 노인한테는 부분 무상을 적용하자는 게 형평에 맞는 정책인가?”라며 애들 무상급식 정책이 정착된 만큼 노인 무상 이동권 보장정책도 사회적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이제 정착이 되어야 할 때가 아닌가?라고 반문했습니다.

 

앞서 대구시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에 대한 노인 무임교통 지원 방안을 연도별 연령에 따른 단계적 추진으로 확정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대구시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의 노인 무임 승차연령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오는 2028년부터는 70세 이상 노인들이 무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한편 서울시를 비롯한 다른 지자체에서도 노인 무임승차 제도 개선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지하철 요금을 최대 30% 인상하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대전시도 만 70세 이상 노인의 시내버스마을버스 무임승차 지원을 시행하면서 도시철도 무상이용 나이 상향도 검토할 방침입니다.

 

노인 무임승차 논란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일부 누리꾼은 출퇴근 시간만이라도 돈을 받아야 한다,무임승차보다는 반값이 나을 거 같다 등의 노인 무임승차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면 “(무임승차 제도로) 노인들이 계속 밖으로 나와야 복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우리가 지금 누리는 혜택은 노인분들이 과거 피땀흘린 덕분이기에 무임승차를 찬성한다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