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노인 무임승차 비판에...홍준표 "노인 무상 이동권, 무상급식처럼 정착해야"
▷홍준표 대구시장, “노인 무상 이동권 보장정책, 사회적 복지정책의 일환되야”
▷노인 무임승차에 대한 누리꾼의 반응 엇갈려

(출처=페이스북 홍준표 페이지)
지난 21일 홍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무상급식 논쟁이 한창일 때 소득따라 차등급식을 하자는 내 주장에는 별 다른 호응이 없었고, 좌파들로부터는 애들 밥그릇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는 모욕적인 비난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도 그렇게 하고 일본도 대부분 급식비를 받는다”면서 “이번 노인 무상 이동권을 보장하겠다는 대구시 정책을 두고는
일본의 노인 할인정책을 내세워 이를 비판하는 견해들이 다수 있다. 참 형평에 어긋나는 주장들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애들한테는 무상을 적용하고, 노인한테는 부분 무상을 적용하자는 게 형평에 맞는 정책인가?”라며 “애들 무상급식 정책이 정착된 만큼 노인 무상 이동권 보장정책도 사회적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이제 정착이 되어야 할 때가 아닌가?”라고 반문했습니다.
앞서 대구시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에 대한 노인 무임교통 지원 방안을 연도별 연령에 따른 ‘단계적 추진’으로 확정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대구시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의 노인 무임 승차연령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오는 2028년부터는
70세 이상 노인들이 무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한편 서울시를 비롯한 다른 지자체에서도 노인 무임승차 제도 개선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지하철 요금을 최대 30% 인상하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대전시도 만 70세 이상 노인의 시내버스∙마을버스 무임승차 지원을 시행하면서 도시철도 무상이용 나이 상향도 검토할 방침입니다.
노인 무임승차 논란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일부
누리꾼은 “출퇴근 시간만이라도 돈을 받아야 한다”, “무임승차보다는
반값이 나을 거 같다” 등의 노인 무임승차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면 “(무임승차 제도로) 노인들이
계속 밖으로 나와야 복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우리가 지금 누리는 혜택은 노인분들이 과거 피땀흘린
덕분이기에 무임승차를 찬성한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대유 하는짓 보면 기가 찹니다
2대한민국 주식시장을 쓰레기 투기장으로 만든 정치인들은 알면서도 내비두는거지? 대표의 고의적인 잘못을 주주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입게 내비두는 것이 진정 국가가 존개한다라고 볼 수 있나?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상법개정을 하루빨리 시행해라.
3이번일을 계기로 국내 주식시장에 경종을 울리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이상 주가조작세력을 묵인해선 안될것입니다.
4주가조작세력 및 범죄지들이 국내 주식시장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을 없어져야 합니다.
5소액주주 권리, 꼭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긴 시간 회사의 횡포에도 굳건한 대유 소액주주 연대 항상 응원합니다. 꼭 이루어지길 빌면서…
6귀한정보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7대유 소액주주연대 화이팅하세요. 기자님~ 정확한 정보 기사화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기사 계속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