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전장연 지하철 탑승 원천봉쇄, 찬성 Vs 반대

(출처=페이스북)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장애인 권리예산∙입법 쟁취 지하철 시위’를 재개한 가운데, 서울교통공사가 이를 저지하면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전장연은 3일 오전 8시쯤
서울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에서 기습 선전전을 벌였습니다. 이들은
지하철에 탑승해 동대문 역사문화공원역에서 하차한 뒤 다시 승차하려 했지만 공사측 직원들에 의해 제지됐습니다.
당초 전장연은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4호선 삼각지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시간과
장소를 바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날인 2일 오전에도 전장연은 지하철 4호선 삼각지역에서 숙대입구역 방면으로 지하철 탑승 시위를 하려고 했지만 서울교통공사에 의해 승차를 거부당한 바
있습니다.
전장연은 법원 중재안에 따라 지하철 지연이 5분이 넘지 않는 범위에서
탑승 시위를 지속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오세훈 서울시장은 무관용 대응 원칙을 내세워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시위를 진행하는 역에 경찰을 배치하고 무정차 통과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
이에 박경석 전장연 공동상임대표는 “전장연은 법원의 조정안이 불평등하고
불공정하지만 수용했다. 그러나 오 시장은 ‘무관용’을 선언하며 ‘관치폭력’을
가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지난 252일 동안
평화롭게 선전전을 진행해왔는데, 오 시장의 발언 이후 공사와 경찰은 ‘5분
이내’ 선전전마저 막고 있다”며 “평화로운 선전전을 할 수 있도록 공간과 시간을 열어달라.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을 때까지 대치를 계속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 시장은 MBN ‘시사 스페셜’에서
전장연 시위 관련 질문에 “1분만 늦어도 큰일이 나는 지하철을 5분이나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법치를 최전선에서
구현하셔야 할 판사님이 법치를 오히려 파괴하는 내용을 담은 조정안을 냈다”면서 맞서고 있습니다.
전장연과 경찰∙서울교통공사의 대치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또한 엇갈리고 있습니다.
일부 시민들은 SNS 등을 통해 “지하철
시위 때문에 오늘도 지각이다”, “무정차 통과에 찬성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사를 향한 쓴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한 누리꾼은 “장애인을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탄압하는 서울시를 규탄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외에도 “장애인도 시민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 등의 의견을 내기도 했습니다.
전장연 시위에 대응하는 서울시의 조치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어떤가요?
찬성: 전장연 지하철 탑승 시위를 원천봉쇄 해야 한다
반대: 전장연 탑승 시위를 용인해야 한다
중립: 기타 의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