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연 기습 시위로…지하철 역사 곳곳서 혼란
▷이틀째 이어진 전장연 시위…공사와 경찰 대치로 몸싸움까지
▷전장연, “법원 조정안을 수용하고 4호선에서만 시위 진행할 것”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가 3일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기습 시위를 벌였습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가 전날에 이어 전장연의 승차 행위를 막으면서 지하철 탑승이 저지됐습니다.
이로 인해 출근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은 공사 직원∙경찰과
전장연 회원들 사이 몸싸움이 벌어지는 등 혼란이 일어났습니다.
애초 전장연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삼각지역에서 지하철 시위를 예고했으나, 휠체어를 탄 15명의
전장연 회원 등은 이에 앞서 이날 오전 8시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에서
기습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후 이들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하차 후 재승차를 시도했지만, 서울교통공사
측에 의해 가로막혔습니다. 이 과정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승강장은 전장연 회원, 공사 직원 등이 뒤얽혀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오전 10시 30분 삼각지역에서도 경찰이 전장연 회원들의 탑승을 제지하면서 물리적 충돌이 빚어졌고 삼각지역장이
휠체어에 치여 병원으로 실려가기도 했습니다.
전장연은 전날에도 삼각지역에서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했지만, 서울교통공사가
저지하면서 충돌한 바 있습니다. 이날 시위는 14시간 이상
이어지면서 삼각지역에서 숙대입구역 방면 열차 총 13대의 열차가 무정차로 통과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
전장연은 3일 입장문을 통해 “2023년에는
매일(주말, 공휴일, 제외
260일) 출근길 지하철 선전전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먼저 (서울 지하철) 4호선을 이용하는 시민분들께 무거운 마음으로 죄송함을 표한다”면서 “대통령실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삼각지역 4호선을 제외한 다른 노선에서는 진행하지 않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전장연은 기획재정부 장관과 면담이 진행되면 지하철 선전전을 유보하겠다는 입장도 함께 전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