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월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지난달보다 4.96% 상승
▷서울 평당 분양가 3천800만원 선 넘어 ▷전용면적 50㎡ 미만의 아파트 가격 신고가 갱신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4.15

서울아파트, 16주만에 하락세 멈춰....평균분양가는 2.7배 증가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발표 ▷서울 평균 아파트 분양가 26억원 육박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3.22

서울, 분양가 오르고 떠나는 사람 많아진다
▷3.3㎡당 평균 분양가가 3713만 7000원...전년대비 21% 올라 ▷높은 분양가에 서울 주거 포기하고 경기·인천으로 전입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2.16

서울, 주택매매지수는 떨어지고 분양가는 올라
▷주택 매매 지수, 전국 대부분 악화 ▷서울이 다른 지역에 비해 더 떨어져 ▷반면 민간아파트 분양가 평당 17.16% 올라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4.01.15

올해 전국에서 가장 싼 아파트와 비싼 아파트는?
▷더팬트하우스 청담 3년 연속 1위...162억4000만원 ▷전북 익산 D아파트 34㎡ 13채 630만원에 일괄거래 ▷서울·수도권과 비장 집값 격차 갈수록 심화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9.11

서울 집값, 강남4구 등에 엎고 1년 만에 상승세
▷부동산원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발표 ▷서울주택종합 매매가격 0.05% 상승...강남·서초 등 강남 4구 위주 상승세 ▷서울 민간아파트 분양가 4개월 연속 상승해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07.17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