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교통사고 환자 평소보다 1.3배↑…뒷좌석 안전띠 착용률 절반 수준
▷추석 연휴 기간, 교통사고 1.3배 증가...추석 연휴 각별한 주의 필요 ▷질병청, "카시트·안전띠 착용만으로 입원·사망 비율 감소."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이정원 기자 | 2025.10.02
올해 설 차례상 차림비용 309,641원... 지난해보다 0.7% 높아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조사, "설 10대 성수품 가격은 지난해보다 3.1% 낮아" ▷ 전통시장 물가 오르고, 대형마트 떨어졌지만 여전히 전통시장에서 사는 게 저렴
경제 > 경제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2.07
‘통행료 면제∙막차연장’…설 연휴 알아두면 좋을 것들
▷오늘부터 24일 자정까지 전국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설 연휴 문 여는 병∙의원, 약국 등 정보 공개 ▷무료 공공주차장 이용 가능…공유누리 등 확인 가능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3.01.20
[알쓸추정] 알아두면 쓸데 있는 추석 정보
▷제수용품 장보기, 냉장이 필요 없는 식품부터 구매 ▷성묫길에 구입한 제품은 되도록 빨리 섭취 ▷전화와 앱으로 연휴 기간 여는 병∙의원 확인 가능
사회·정치 > 전국 | 류으뜸 기자 | 2022.09.07
이번 추석 연휴에 조심해야 할 것은?
▷ 민족 대명절 추석, 교통체증 만큼 교통사고도 多 ▷ 성묘객 벌 쏘임 사고 빈번..쏘였을 땐 신속한 신고를
사회·정치 > 전국 | 김영진 기자 | 2022.09.06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