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 연휴에 조심해야 할 것은?
▷ 민족 대명절 추석, 교통체증 만큼 교통사고도 多
▷ 성묘객 벌 쏘임 사고 빈번..쏘였을 땐 신속한 신고를
#올해 추석 이동량…’역대급’
민족 대명절 추석,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는 뜻깊은 시간입니다.
지난해 한국교통연구원이 추산한 추석 이동인구는 약 3,200만 명으로 인구의 약 3분의 1 이상이 고향이나 선산을 찾는데요.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동안에는 전국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돼 더더욱 많은 사람이 움직일 것으로 보입니다.
경찰청 曰 “이번 추석연휴 기간은 차량 통행량과 인구 이동량이 역대급으로 많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고속도로 교통 혼잡 및 사고위험도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교통체증도 짜증나지만, 특히 주의해야 할 건 ‘안전’입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추석 연휴 기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연간 하루평균 589건의 사고와 사망자 9.5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간대별로는 점심 후 오후 시간대(14~20시), 경부고속도로와 서해안 고속도로에서 주로 교통사고가
발생했는데요.
경찰청에선 가용경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교통안전 및 소통을 확보하는 건 물론, ‘음주운전’에도 많은 신경을 쓰겠다고 밝혔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 등 음주운전이
자주 발생하는 취약장소 위주로 이동식 단속을 진행하고, 시/도
경찰청별 지역 특성을 고려한 상시 단속도 함께 시행한다는 방침입니다.
#첫째도 벌 조심, 둘째도 벌 조심
안전운전뿐만 아니라, 성묘객들은 ‘벌 쏘임 사고’를 당하지 않게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발생한 벌 쏘임 사고 15,743건 중 4,611건(29.3%)이 9월에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사망자도 11명이 발생하는 등 성묘나 벌초를 하는 과정에서 벌에
쏘이는 사고가 빈번한데요.
벌 쏘임 사고 사망자의 79%가 쇼크로 인해 1시간 이내 사망하는 만큼, 성묘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방청은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벌 쏘임 시 행동요령을 만들어 국민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먼저, 벌에 쏘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선 흰색 계열의 긴소매 옷을 입는 게 좋습니다. 밝은색보다 검고 어두운 색의 옷에 벌들이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벌을 자극하는 향수나 화장품, 스프레이 분사를 자제하고, 탄산음료나 달콤한 음료도 멀리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벌집을 발견했을 때는 자세를 낮추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건드렸을 경우에는 머리를 감싼 채 신속하게 자리를 벗어나야 합니다. 벌집으로부터 최소 20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쏘인 부분이 심하게 부풀어오르면서 구토, 설사, 어지러움, 전신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알레르기로 인해 ‘과민성 쇼크’가 발생하면 순식간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대처 방법은 먼저 카드의 납작한 모소리나 족집게로 벌침을 제거한 후, 쏘인 부위를
소독한 뒤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최대한 빨리 119에
연락해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소방청 曰 “말벌의 독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최대한 신속히 119신고 후 병원치료”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