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ll&Talk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첨예한 이슈들에 대해 대국민적 여론을 수렴합니다. 투표 결과와 댓글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공정한 투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폴앤톡]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의금은 얼마가 좋을까

152명 참여
투표종료 2023.01.18 11:00 ~ 2023.02.03 16:00
[폴앤톡]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의금은 얼마가 좋을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가까운 사이면 축의금 5만 원은 그렇고, 10만 원은 내야 하는데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직장 동료와 친하진 않고 인사만 하는 사이인데, 5만 원은 너무 적은가 생각한다. 5만 원만 내고 밥을 먹기 말까 고민이다

 

내가 낸 축의금보다 받은 축의금이 적을 때 서운하다

 

결혼식 때 축하한다는 의미로 건네는 축의금, 최근 축의금을 둘러싼 사건사고가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축의금 액수의 차이로 30년 지기 친구가 서로 폭로전을 벌이며 갈라서는가 하면, 축의금을 얼마나 냈느냐에 따라 식당의 음식을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신혼부부 등 축의금으로 인해 갈등을 빚은 사례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일각에선 축의금을 처음부터 받지 않는 결혼식이나 축의금을 선물로 대신하는 문화 등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축의금 갈등의 대부분은 액수의 차이로부터 비롯됩니다.자신은 지인의 결혼식에 축의금을 10만 원을 냈는데, 그 지인은 자신의 축의금으로 5만 원밖에 내지 않았다, 그 서운함으로 인해 서로의 관계가 끝을 맺고 있는 건데요.

 

이전과 달리 많은 사람들이 축의금 액수에 민감해진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기인합니다.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상승하면서 예식장들의 식대도 함께 치솟았습니다.

 

서울 강남 예식장의 식대는 어느덧 9만 원을 호가하고 있는데요. 식대뿐만 아니라 대관비, 봉사료, 장식비 등의 비용도 더불어 오르면서 신혼부부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나마 축의금을 통해 예식장 소모 비용을 충당해야 하는데, 손님들이 식대보다 적은 축의금을 내고 가면 신혼부부들의 고민은 깊어질 법합니다.

 

더군다나, 최근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공정함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축의금 액수의 차이는 충분한 갈등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축의금, 여러분은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나요?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13

댓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