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앤톡] 5만 원이냐, 10만 원이냐… 축의금은 얼마가 좋을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가까운 사이면 축의금 5만
원은 그렇고, 10만 원은 내야 하는데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직장 동료와 친하진 않고 인사만 하는 사이인데, 5만 원은 너무 적은가 생각한다. 5만 원만 내고 밥을 먹기 말까
고민이다”
“내가 낸 축의금보다 받은 축의금이 적을 때 서운하다”
결혼식 때 축하한다는 의미로 건네는 축의금, 최근 축의금을 둘러싼 사건사고가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축의금 액수의 차이로 30년 지기 친구가 서로 폭로전을 벌이며 갈라서는가 하면, 축의금을 얼마나 냈느냐에 따라 식당의 음식을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신혼부부 등 축의금으로 인해 갈등을 빚은 사례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일각에선 축의금을 처음부터
받지 않는 결혼식이나 축의금을 선물로 대신하는 문화 등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축의금 갈등의 대부분은 ‘액수의 차이’로부터 비롯됩니다. “자신은 지인의 결혼식에 축의금을 10만 원을 냈는데, 그 지인은 자신의 축의금으로 5만 원밖에 내지 않았다”며, 그 서운함으로 인해 서로의 관계가 끝을 맺고 있는 건데요.
이전과 달리 많은 사람들이 축의금 액수에 민감해진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기인합니다.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상승하면서 예식장들의 식대도 함께 치솟았습니다.
서울 강남 예식장의 식대는 어느덧 9만 원을 호가하고 있는데요. 식대뿐만 아니라 대관비, 봉사료, 장식비 등의 비용도 더불어 오르면서 신혼부부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나마 축의금을 통해 예식장 소모 비용을 충당해야 하는데, 손님들이 식대보다 적은 축의금을 내고 가면 신혼부부들의 고민은 깊어질 법합니다.
더군다나, 최근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공정함’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축의금
액수의 차이는 충분한 갈등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축의금, 여러분은 얼마가 적당하다고 생각하나요?

Poll&Talk 진행 중인 Poll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