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앤톡] ‘인공 자궁’ 임상시험, 생명윤리 논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진이 '인공 자궁' 기술의 임상시험을 허가해달라고 美 식품의약국(FDA)에게 요청했습니다.
실제 미숙아를 인공적인 자궁에서 키울 수 있게끔 시험해보겠다는 겁니다. 만약 FDA가 이를 허가하고,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시 '인공 자궁'의 현실화가 눈앞으로 성큼 다가오는데요.
인공 자궁이란 단어 그대로 모체의 자궁을 외부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겁니다. 인공 자궁은 인큐베이터와 달리 생명체를 탯줄에 연결해 영양분을 공급해줄 수 있는데요. FDA에 임상시험을 신청한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진들은 이미 '바이오벡'이란 인공 자궁을 개발하여 새끼 양을 성공적으로 성장시킨 바 있습니다.
양수와 비슷한 용액이 채워져 있는 바이오백 안에서 핏덩이에 가까운 새끼 양에 탯줄을 연결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했고, 그 결과 새끼 양의 폐와 뇌가 발달하고 솜털이 자라나는 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이러한 특성상, 인공 자궁은 '조산아'(미숙아)가 내포하고 있는 위험을 크게 낮춰줄 수 있습니다. 자궁에서 보내야 할 시간을 채우지 못하고 세상 밖에 나온 조산아는 상대적으로 질병에 취약합니다.
특히, 자궁에서 28주를 채 보내지 못하고 출산한 '이른둥이'는 뇌와 폐 등 신체 주요 장기가 완전히 발달하지 못해 생존율이 낮습니다. 고혈압이나 뇌성마비 등 후천 질환을 앓을 위험이 크며 장애 위험성도 비교적 높습니다.
최은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숙아 건강통계 현황과 시사점'에서 미숙아의 장기적인 건강문제에 대해 “중장기적인 건강 성과는 사망, 장애, 질병 등의 상태로 평가된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즉, 조산아를 자궁 대신 인공 자궁으로 옮겨 성장시킬 수 있다면, 이들의 생존율은 물론 임신부의 신체적 부담도 크게 낮출 수 있는 셈인데요.
일각에서는 인공 자궁이 임신에 대한 부담을 경감해 저출산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임신 중에 혹시나 모를 불상사가 발생해도 인공 자궁으로 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신부의 육체적, 정신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겁니다. 난임, 불임 부부 역시 인공 자궁을 통해 출산을 진행할 수 있기에 출산율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의견인데요.
다만, 인공 자궁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습니다. 신체가 완전히 자라나지 않은 영아를 자궁 외의 환경에서 키운다는 부분에서 생명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인공 자궁을 통해 낳은 자식과 어머니 간의 유대감이 상대적으로 약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어머니와 자식 간의 교감이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졌기에, 어머니가 자식에게 갖는 모성애가 미약할 것이란 뜻입니다. 인공 자궁이 미숙아들에게 진정으로 안정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있습니다.
FDA의 승인이 나면 곧바로 임상 시험에 돌입하는 '인공 자궁' 기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Poll&Talk 진행 중인 Poll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