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oll&Talk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첨예한 이슈들에 대해 대국민적 여론을 수렴합니다. 투표 결과와 댓글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공정한 투표를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폴앤톡] 유아특수교사 조직문화와 업무실태의 현주소는?

456명 참여
투표종료 2023.09.05 15:00 ~ 2023.09.20 16:00
 

편집자주: 본 조사는 유아특수교사 조직문화 및 업무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취재=류으뜸 기자/편집=김영진 기자 =추락한 교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교육계의 목소리가 거센 가운데, 교사들이 처한 ‘조직문화’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교사가 속한 조직문화가 교육에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조직문화란 한 조직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조직과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요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유아특수교사들이 갖고 있는 조직문화는 복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아특수교육연구 제22권 제3호에 실린 논문,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조직문화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에 따르면, 유아특수교사는 정말 다양한 유형의 조직문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유아특수교사는 교사의 의견을 배제한 채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체계를 고수하는 '위계지향적 조직문화', 어떤 모형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혼돈의 조직문화' 또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혼돈의 조직문화’에서는 관리자의 인식에 따라 유치원의 문화가 좌지우지되기도 했고, 존중과 무시가 공존하는 모순적인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조직문화가 교육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에서 발표한 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유치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에 따르면, ‘2019 개정 누리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되었음에도 관리자들의 경직된 신념과 조직문화로 인해 교사들이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놀이’를 핵심 가치로 삼고 교사들에게 창의성과 자율성을 부여해주는 새로운 교육과정입니다. 이로 인해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교사의 가치관과 교육공동체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등 좋은 효과를 봤음에도 불구하고, 한편에선 여전히 과거의 교육과정 운영방법을 답습하고 ‘보여주기식’으로 교육하려는 경직된 조직문화가 남아있다는 겁니다.

 

유아특수교사가 처한 경직된 조직문화는 교사 개인에게 심리적/육체적 부담으로 작용할 뿐더러 아이의 교육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김현숙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회 회장은 “교사가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교육 현장의 조직문화나 맡은 업무에 애착을 갖지 못하고 교육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할 수 없다면 교육 수행에 소홀해지고 소외감, 이직 의향 등을 가지게 될 것이며, 이러한 문제는 궁극적으로 특수교육대상유아들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아이들에게 보다 중요한 ‘교육’을 위해서라도, 유아특수교사들의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일은 필수불가결해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위즈경제가 유아특수교사들이 처한 조직문화의 현실을 톺아보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회와 협업해 실태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유아특수교사 조직문화 및 업무실태 여론조사 개요 

-내용 : 유아특수교사 조직문화 및 업무실태

-목적 : 유아특수교사가 속한 조직의 조직문화 분석과 향후 바람직한 조직문화에 대한 현장 목소리 청취

-참여대상 : 전국유아특수교사

-조사기간: 9월 5일 ~ 9월 20일까지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1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