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대전 초등학교 사망 사건의 가해 학부모들의 개인정보가 온라인 상에 퍼지고 있는 가운데 사건과 관련 없는 식당이 가해 학부모가 운영하는 곳으로 오해를 받아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2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전 갈비집은 상관없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자신을 해당 식당 사장의 조카라고 밝힌 A씨는 “관평동 선생님을 힘들게 했던 가해자 중 마지막 한명으로 지목된 식당은 이번 일과 전혀 무관하다”며 말문을 열었습니다.
A씨는 “지금
한가정의 생계가 달려있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어제 삼촌께서 살인자 등등의 욕설과 별점 테러에 너무 놀라시고 많이 상처받으신 상황이다”라며 “카더라를 통한 마녀사냥만은 멈춰야
한다”고 호소했습니다.
A씨는 가해 학부모가 운영하는 식당으로 지목된 갈비집의 사업자등록증과
함께 가족관계증명서도 함께 첨부했습니다.
그는 “가족관계증명서에 나와 있듯이 두 분의 자녀는 이미
성인이고, 둘 다 미혼이다”라며 “무엇보다 관평동 근처에도 거주하신 적이 없고, 자녀들도 관평초는 안
다녔다”고 강조했습니다.
해당 게시글을 본 누리꾼들은 “억울한 사람이 있어서는 안
된다”, “무차별 테러 금지”, “누가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글을 올렸냐.
억울한 상황을 만들면 안 된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앞서 해당 갈비집은 대전 교사 사망 사건과 관련이 있다고 잘못 알려지면서, “장사
접으셔야 겠네요”, “인생에
매운맛 좀 보시길 바란다” 등의 글과 함께
별점 테러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A씨의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면서 “별점 복구 지원 왔습니다”, “별점 테러 복구 동참” 등의 응원 댓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전 교사 사망 사건의 가해 학부모로 오해를 받고 피해를 본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한 지역 맘카페에서 음악학원 원장이라고 밝힌 작성자는 “모르는
번호로 수차례 전화가 오기 시작하면서 저격하는 글들이 올라오기 시작했다”며 “무고한 사람을 마녀사냥해 또 피해자를 만들려고 이러는 거냐”라고
주장했습니다.
가해자로 지목된 학부모와 동일한 상호를 사용하는 한 미용실에서는 “저희
가게는 모 초등교사와 관련이 없는 곳”이라며 “저희 가게는 대전 유성구가 아닌 동구에 있으니 제발 주소를 확인해달라”며
악의적인 댓글과 전화 테러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