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걸그룹 ‘마마무’ 맴버 화사(28∙본명 안혜진)가 대학 축제 중 선보인 선정적인 퍼포먼스로 시민단체에 고발당해 최근 경찰조사를 받았습니다.
지난 10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
성동경찰서는 공연 음란 혐의로 고발된 화사를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해 약 3시간가량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앞서 안 씨는 지난 5월 성균관대 축제 무대에서 tvN ‘댄스가수 유랑단’ 촬영 중 혀로 손가락을 핥은 뒤 특정 신체
부위에 갖다 대는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이후 해당 장면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 등으로 확산되면서 선정성
논란에 휘말렸고 학부모단체로부터 공연음란죄 혐의로 고발을 당했습니다.
학생학부모인권보호연대(학인연)는
지난 6월 “화사의 행위가 변태적 성관계를 연상시켜
목격한 대중에게 수치심과 혐오감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며 고발 사유를 밝혔습니다.
경찰은 고발인과 안 씨를 불러 조사하고 기획사 등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문제의 퍼포먼스가 형사처벌 대상인지
법리 검토 중입니다.
공연음란죄는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음란 행위를 할 경우 적용되며,
1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 벌금, 구류
또는 과료로 처벌받습니다.
한편 안 씨의 퍼포먼스를 두고 온라인 상에서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퍼포먼스인데 뭐가
문제냐”, “흔한
아이돌 퍼포먼스랑 크게 다르지 않던데 이렇게까지 이슈화되는 이유를 알 수가 없다. 이러면 아이돌 다
잡아들여야 되는 거 아니냐” 등의 안 씨를
두둔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다른 누리꾼들은 “아무리 예술이라도 지켜야 될 선이
있는 것이다”, “이런
식이면 스트립쇼도 예술로 인정할거냐”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