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무안공항...다시 살아나려면?
▷15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정책세미나' 열려
▷지난해 공항 이용 회복률, 2019년 대비 4%에 그쳐...서 의원 "“무안항공 국제선 유치에 총력을 다해야”
▷제주항공, 한국관광공사 등 무안항공 활성화 방안 제시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은 15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정책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오는 3월부터 정기적인 노선이 사라지는 서남권 거점공항
재개됨에 따라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활성화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세종대학교 황용식 교수를 좌장으로 약 2시간 30분 동안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 장동현
한국관광공사 과장, 허주희 한국공항공사 항공엽업 실장, 황용식
세종대학교 교수, 허준 동덕여대 교수, 김병호 전남도청 도로교통과장, 김성훈 무안군 부군수, 김원국 하이에어 부사장, 최대경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과 사무관 등이 참여했습니다.
무한공항의 국제선 이용객은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매우 적은 상황입니다. 한국공항공사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공항의 국제선 정기노선은 평균 3편으로, 무안공항은 일본 간사이 노선 1개만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마저도 전세기로만 운영하고
있어 여행사를 통하지 않으면 예매할 수 없습니다. 오는 3월
노선 보유 항공사가 기간 연장 신청을 하지 않으면 이마저도 중단됩니다.
서 의원은 인사말에서 국가가 항공사업자에게 소요자금을 보조하도록 한 항공사업법 제65조 1항이 사실상 사문화된 점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정부는 항공사업자에게 추가적인 재정지원 인센티브를 마련하는 등 무안항공 국제선 유치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오늘
세미나가 정부 관계자 및 전문가 여러분들의 발전적인 논의를 통해 무안공항의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 대안이 마련될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진 축사에서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무안공항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전남이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 중에 하나”라면서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모든 길은 무안으로 통할 수 있도록 이번 세미나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발판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은?
이날 세미나는 총 4개 세션으로 나눠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습니다. 제1세션은 ‘무안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 제2세션은 ‘한국관광공사 광주전남지사 무안공항 연계 인바운드 관광 홍보∙마케칭 사업 추진 결과’, 제3세션은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 제4세션은 ‘MICE∙관광 경로 개발을 통한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첫 발제자로 나선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은 무한공항이 인천공항과 더불어 24시간 운영돼 빠른 탑승수속, 쾌적한 공항 이용이 가능한 점과 광주공항과
통합이 추진되면 갖게 되는 성장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및 건의사항으로
△무안공항
입∙출국 이원화 지원 △단체 관광객 무사증 입국제도 개선 △국제선 재정지원 정책 개선 △ 환승 여객 유치 추진을 제시했습니다.
제2세션 발제자로 나온 장동현 한국관광공사 전남지부 과장은 △무안공항
활성화 관광-항공 실무협의체 구성 및 운영, △상품개발
및 전세기 유치 지원, △무안공항 연계 전남관광 홍보 리플렛 제작, △무안공항 연계 인플루언서 협업 전남관광 홍보 영상 제작, △관광-항고 연계 글로벌 온라인여행플랫폼(OTA) 활용 전남관광 홍보 등
한국관광공사 광주전남지사가 무안공항과 연계해 진행한 인바운드 관광 홍보와 마케팅 사업 추진 결과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한 장 과장은 “현재 무안공항 주변 도시의 숙박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이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그는 “어렵게 인바운드 여행객이 와도 이탈자가 높아 상품 가격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3세션 발제자로 나온 허주희 한국공항공사 항공영업실장은 무안공항
근처에 있는 풍부한 관광자원을 기회요인이라고 평가하면서 총 5가지(인바운드
수요유치 및 활성화 지원, 항공-관광 협업 사업 추진, 중국 관광재개 대비, 공항접근성 제고, 항공사 취항여건 지원) 무안공항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제4세션 발제자로 나온 허준 동덕여대 교수는 MICE(기업회의·포상관광·국제회의·전시)∙관광
경로 개발을 통해 무안공항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허 교수는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오는 것”이라면서 “전남이 가진 K-컬쳐, MICE 관광
매력을 높여 무안공항을 거점으로 한 시스템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세미나의 마지막을 장식한 토론은 김병호 전남도청 도로교통과장, 김성훈 무안군 부군수, 김원국 하이에어 부사장, 최대경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과 사무관이 참여해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