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공사, 국제선 증편에 열 올려…중국이 ‘변수’
▷국내항공사, 일본∙동남아 등 국제선 증편 나서
▷중국발 항공편 잠정 중단...아시아나, 중국 노선 28.3%
▷”중국노선 없이 국제선 정상화 어려워”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방역 방침 등 출입국 규제가 완화되는 가운데 국내 항공사들이 일본∙동남아 등을 중심으로 국제선 증편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최근 인천~삿포로∙오키나와를 오가는 노선을 재개하고 일본
노선을 주 왕복 88편으로 60% 확대하며 손님맞이 준비에
나섰습니다.
아시아나항공도 주 5회 운항하던 인천~하와이 노선을 지난해 12월 22일부터
매일 운항하고 있습니다. 김포~오사카 노선도 운항 중단 후
3년 만에 재개해 오는 13일부터 매일 2회씩, 주 14회 운항합니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새해부터 노선 증편과 신규취항으로 분주합니다. 제주항공은 이달 18일부터 인천∙부산~타이베이 노선을 매일 운영합니다. 진에어는 지난달부터 부산~괌 노선을 주 7회로 늘렸으며 인천~나트랑, 부산~코타키나발루 노선에 신규 노선을 취항했습니다. 지난달 21일부터 기존 주 4회 운항하던 인천~치앙마이 노선과 인천~나트랑 노선을 주 7회로 3회씩 늘려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국발 입국제재…아시아나항공∙LCC, ‘전전긍긍’
다만 중국에 대한 입국 제재가 실적 개선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중국발 항공편의 추가 증편을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인천·김해·대구·제주공항에 도착하는 중국발 항공기의 도착지를 인천국제공항으로 일원화됐고, 다음
달 말까지 중국에서 입국하는 사람은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아야 해 입국이 까다로워졌습니다.
특히 우려감이 커지는 곳은 아시아나항공과 저가항공사(LCC)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 이전 중국 노선 탑승객 비중이 28.3%로
대한항공보다 10% 정도 높을 정도로 중국 노선에 공을 들였습니다. 대부분의
LCC 또한 중국노선이 매출의 10~20%를 차지해 중요한
노선으로 평가받아왔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 노선이 살아나지 않으면, 국제선 정상화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중국 노선이 다시 위축되면 항공사들 경영 정상화 시점이 늦춰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2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3아 진짜 한탄 스럽네요.2025년 현 시대에 이런일이 있다니.
4용역들 깔아놓고 험악한분위기 조성하고 말도 안되는 이유로 주주들을 바닥에 앉혀놓고 못들어가게 막다니요... 이게 지금시대가 맞나요? 어처구니없고 화가나네요...
5용역을 쓰고 못들어오게한다? 비상식적인 일의 연속이네요. 이번 주총 안건은 모두 무효하고 관계자는 처벌 받아야합니다 이럴꺼면 주주총회를 왜 합니까? 못둘어오게하고 그냥 가결하면 끝인데?
6와~~이런 개***회사가 코스닥에 상장 했다니..ㅠ 힘으로 밀어 부치며 불법과 사기로 회사 재무도 건전한 회사가 고의로 상폐시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액주주들 몫!!!ㅠㅠ
7믿지못할 일이 눈앞에서 벌어졌네요. .도대체 주주총회에 왜 주주가 입장이 안되는거죠? 말만 주주총회 입니까!! 이 어처구니없는 사실들이 널리 알려져야겠어요.피같은돈 그냥 지들맘대로 없애려 하다니 대유경영진은 전원 사퇴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