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킹달러’ 시대 저무나?...환율하락에 웃는 항공∙철강업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1230원대 기록
▷국내항공사, 환율 떨어지면 환차손 줄어
▷철강업계, 원자재 조달 비용 하락

입력 : 2023.01.12 14:15 수정 : 2023.01.12 14:17
‘킹달러’ 시대 저무나?...환율하락에 웃는 항공∙철강업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킹 달러(King Dollar).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과 글로벌 경기 침체 위협으로 인해 달러 가치가 연일 급등하면서 생긴 말입니다. 한 때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할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지만 최근 달러 초강세 현상이 누그러지고 있습니다.

 

앞서 원달러 환율은 고공행진을 이어왔습니다. 달러 환율은 지난해 9221400원을 넘어섰, 1025일에는 장중 1444.2원까지 치솟으며 연고점을 찍었습니다. 당시 한미 금리 격차로 환율이 1500원이 넘어설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상승세를 지속하던 환율은 11일 장중 1238.6원을 기록하면서 7개월 만에 처음 1230원대로 내려갔습니다.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조절 대감과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완화 등이 꼽힙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 하락 압력이 우세한 상황에서 1200원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항공업계, 리스료 등 비용 줄고 여객부문 수익 개선

 

이처럼 1500원까지 바라봤던 환율이 1200원선까지 내려오면서 국내 항공업계와 철강업계 수익성 회복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달러 상승세는 항공사 입장에서 치명적입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기 리스료와 유류비, 정비용 부품 구매비용 등 대다수 비용을 달러로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오를수록 환차손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실제 대한항공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10원 오르면 350억 원의 외화환산순손실이 발생합니다. 아시아나항공도 환율이 10원 상승할 때 284억원의 손실을 입게 됩니다. 저비용항공사(LCC)는 보통 대형 항공사에 비해 리스료 부담이 커 환율 상승에 따른 피해도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한때 1500원을 넘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는데 안정세에 접어들어 다행이라면서 올해 환율이 더 내릴 것으로 보여 실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일부에서는 환율하락으로 해외를 찾는 국내 관광객의 수가 늘면서 여객 부문의 수익이 점차 개선될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 가치가 상승하는데 한국 돈으로 바꿀 수 있는 외국 돈의 양이 증가해 해외여행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늘어납니다.

 

미국 여행을 준비 중인 30A씨는 환율 상승기 때는 미국 여행을 꿈도 생각 못했는데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있어 생각이 달라졌다고 밝혔습니다.

 

#철강업계, 조달비용 절감장기화되면 수출 어려워져

 

제품 수출보다 원자재 수입 비중이 큰 철강업계도 환율 하락이 호재라는 분위기입니다. 철강사 중 고로(용광로)기업은 철광석과 원료탄을 100%, 전기로 업체는 철스크랩(고철)30%가량 수입을 통해 조달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환율이 하락할 경우 해당 원자재의 조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셈입니다.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에 따르면 환율 10% 하락 시 국내 철강업체의 영역이익은 2%가량 개선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철강업계에서 환율 하락을 마냥 반길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환율 하락으로 철광석 수입 비용을 줄지만, 완성된 철강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수출로 인한 수입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환율 하락이 장기화될 경우 제품 수출 단가도 하락할 수 있고 철강재 수요가 높은 자동차와 조선산업이 어려워져 철강수요가 오히려 위축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