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 코로나 암흑기 지나 ‘봄’ 오나?
▷1월 국제선 여객수, 코로나 이전 대비 58%가량 회복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등 중∙단거리 노선 여객 수요 폭발
▷주요LCC, 흑자 전환 또는 적자폭 줄어들 거라 예상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로나 19로 암흑기를 보낸 LCC(저비용항공사)가 국제선 운항편수와 여객수가 늘면서 실적 개선의 청신호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중단거리 노선의 여객 수요가
폭발하면서 지난 1월 국제선 전체 여객수는 코로나 19 발생
이전(2019년 1월) 비교해
58% 회복됐으며, 국제선 운항편수는 60%, 인천공항 여객 수는 약 62%가량 회복됐습니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중∙단거리 노선의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결과로 지난해 10월과 12월의 국제 여객 수는 2019년 같은 달과 비교해 각각 약 35%, 약 53% 수준으로 회복했고, 지난 1월에는
설 연휴 기간에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약 58% 회복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본은 지난 1월
여객수는 133만 명으로 지난해 8월(16만 명) 대비 약 8.3배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약 10.8% 웃도는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부터 일본의 무비자 입국 허용 등 방역 규제 폐지와 함께 엔저 현상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또한 지난해부터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 여행 수요도 증가하면서, 아시아 노선 여객 수는 단계적 회복세를 띠며 올해 1월 여객 수 회복률은 약 66% 수준(218만 명)을 나타냈습니다.
#주요 LCC 실적 전망은?
이런 가운데 증권업계에선 LCC가 중∙단거리 노선에서 주로 수익을 내고 있는 만큼 향후 실적 전망이 긍정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4분기 3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흑자전환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티웨이항공은
같은 기간 흑자전환은 어렵지만 적자폭은 상당히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에어부산은 영업이익
전망치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습니다.
앞서 진에어는 지난해 4분기 매출 2254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진에어가 영업이익 기준으로 흑자를 낸 건 15분기 만입니다.
한편, 지난해 전 세계 항공운항 회복률은 2019년 대비 약 80% 수준이었고,
아시아와 대양주의 경우 약 70% 이내로 타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올해 6월 기준, 전
세계 항공운항 예상 회복률은 90%로 예측되며, 내년 하반기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