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 코로나 암흑기 지나 ‘봄’ 오나?
▷1월 국제선 여객수, 코로나 이전 대비 58%가량 회복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등 중∙단거리 노선 여객 수요 폭발
▷주요LCC, 흑자 전환 또는 적자폭 줄어들 거라 예상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로나 19로 암흑기를 보낸 LCC(저비용항공사)가 국제선 운항편수와 여객수가 늘면서 실적 개선의 청신호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중단거리 노선의 여객 수요가
폭발하면서 지난 1월 국제선 전체 여객수는 코로나 19 발생
이전(2019년 1월) 비교해
58% 회복됐으며, 국제선 운항편수는 60%, 인천공항 여객 수는 약 62%가량 회복됐습니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중∙단거리 노선의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결과로 지난해 10월과 12월의 국제 여객 수는 2019년 같은 달과 비교해 각각 약 35%, 약 53% 수준으로 회복했고, 지난 1월에는
설 연휴 기간에 해외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약 58% 회복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본은 지난 1월
여객수는 133만 명으로 지난해 8월(16만 명) 대비 약 8.3배
증가했습니다. 코로나 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약 10.8% 웃도는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지난해 10월부터 일본의 무비자 입국 허용 등 방역 규제 폐지와 함께 엔저 현상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또한 지난해부터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 여행 수요도 증가하면서, 아시아 노선 여객 수는 단계적 회복세를 띠며 올해 1월 여객 수 회복률은 약 66% 수준(218만 명)을 나타냈습니다.
#주요 LCC 실적 전망은?
이런 가운데 증권업계에선 LCC가 중∙단거리 노선에서 주로 수익을 내고 있는 만큼 향후 실적 전망이 긍정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4분기 3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흑자전환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티웨이항공은
같은 기간 흑자전환은 어렵지만 적자폭은 상당히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에어부산은 영업이익
전망치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습니다.
앞서 진에어는 지난해 4분기 매출 2254억원, 영업이익 1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진에어가 영업이익 기준으로 흑자를 낸 건 15분기 만입니다.
한편, 지난해 전 세계 항공운항 회복률은 2019년 대비 약 80% 수준이었고,
아시아와 대양주의 경우 약 70% 이내로 타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올해 6월 기준, 전
세계 항공운항 예상 회복률은 90%로 예측되며, 내년 하반기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