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항상]①역대 최악의 비행기 사고 ‘테네리페 참사’
▷총 583명 사망∙61명 부상…당시 국내 언론서도 대서특필
▷테러위협으로 KLM기와 팬암기가 작은 공항으로 착륙
▷KLM 연료충전으로 이륙 준비하던 팬암기의 발 묶여
![[알쓸항상]①역대 최악의 비행기 사고 ‘테네리페 참사’](/upload/45455bd575dd4465aac45382a2982bb2.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1977년 3월 27일 오후 5시 6분, 대서양 카나리아 제도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섬(에스파냐령)에 있는 테네리페 섬의 로스 로데오 공항에서 비행기 2대가 충돌하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총 583명이 사망하고 61명이 부상당한 ‘테네리페 참사’입니다. 항공운항 역사상 가장 많은 승객이 사망한 사고로 기록된 최악의 참사입니다. 당시 국내 언론에서도 10대 뉴스로 꼽히는 매우 큰 사건이었습니다.
#불운의 시작…폭발물 사고
‘15분 후 어느 공항에서 설치된 폭탄이 터질 것이다’
평온했던 그날 오후 카나리아섬 라스 팔마스공항 관리소에 의문의 전화 한통이 걸려옵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남성은 폭탄 테러를 예고하며 전화를 끊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공항 근처에 있던 꽃집의 화분에
숨겨진 폭탄이 터지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이 사고로 여덟 명의 사람이 다치게 됩니다.
나중에 경찰 조사를 통해 폭발물은 스페인의 통치에 저항하는 카니리아 제도의 분리독립파가 설치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라스팔마스 공항은 임시 폐쇄됐고 이후 라스팔마스에서 이착륙을 하려던 항공기는 모두 발이
묶입니다. 이날 충돌한 KLM 네덜란드항공 4805편 B747-206B기(이하
‘KLM기’)와 팬아메리칸월드항공 1736편 B747-121기(이하
‘팬암기’)기도 연료가 고갈되기 전에 반드시 착륙을 해야
했기에 어쩔 수 없이 로스 로데오 공항으로 항로를 변경하게 됩니다.
문제는 로스 로데오 공항의 크기였습니다. 활주로는 단 하나뿐인 조그만
공항이었습니다. 여기에 비행기들이 몰려 유도로는 쓸 수 없게 됐고 오직 비행기가 뜨고 내려야 할 활주로를
통해서만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된 겁니다.
게다가 주말을 맞아 공항에 대기중이던 관제사는 단 두 명이었습니다. 즉, 이 두사람은 평소와는 비교도 안 되는 수많은 비행기들의 접근, 착륙, 유도 등을 모두 떠 맡게 된 것입니다.
#팬암기 먼저 떠날 수 있었지만…KLM에
막혀
테러 위협으로 어쩔 수 없이 로스 로데오 공항에 머무르게 된 KLM기와
팬암기는 서로 다른 대기 조치를 취합니다.
팬암기보다 먼저 착륙하여 주기한 KLM기는 승객들은 모두 내리게 하고
공항 터미널에서 쉬게 했지만 뒤늦게 도착해 주기한 팬암기는 공항 터미널의 수용인원 초과 문제로 승객들을 기내에서 머물게 하라는 지시를 받게 됩니다.
팬암기 승객들은 기체 주변 주기장에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받았지만 장거리 비행을 한 사람들은 힘들어하는
분위기였습니다. 여기에 기내식까지 떨어져 허기를 달래지 못한 승객들의 불만의 목소리를 더 커졌습니다.
이윽고 폭발물 테러 사태가 일단락되고 팬암기는 이륙을 준비했지만 뜻하지 않은 장애물을 만나게 됩니다. KLM기가 연료를 주입하느라 활주로로 가는 길이 막혀버린 겁니다.
로데오 공항은 작은 공항이라 활주로가 크지 않다 보니 대형기 하나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 다른 대형이가 활주로로
진입할 수 없었습니다. KLM기와 팬암기 둘 다 모두 대형기인 보잉 747
기종이었습니다.
KLM기의 기장 야코프 벨드하위전 반 잔텐(Jacob Veldhuyzen van Zanten)은 당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른다며 부조종사와 기관사의 만류에서
연료를 가득 채우라고 지시했다고 합니다. 급유가 끝난 후에도 KLM 이륙은
지연되는데 승객 중 어린이 2명이 타지 않는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이륙은 더 늦어졌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