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항상]비행기 날개 끝에 달린 '윙렛'을 아나요?
▷비행기 주날개 끝에 위치...공기 소용돌이 '와류' 줄여줘
▷연비 높아져 비용절감...주변 항공기의 안전도 보장
▷보잉의 대표적 기종 B777, 특유의 전폭으로 윙렛 없어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윙렛(Winglet).'날개'라는 뜻의 윙(wing)과 '작다'는 뜻의(-let)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주날개 끝에 있는 작은 날개라는 부를때 쓰입니다.간혹 비행기를 타서 창가자리에 앉아 비행기 날개를 보면 주날개 끝에 꺾여 있는 '윙렛'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윙렉이 꺾여 있는 이유는?
비행기는 총 4가지의 힘이 작용해 뜨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양력'입니다.양력은 항공기 주위로 흐르는 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을 말합니다.
양력은 비행기 날개 상하 압력차로 생깁니다.비행기 날개의 모습을 보면 아래쪽은 날개가 평평해서 공기의 흐름이 느리고 날개 위쪽은 곡선으로 돼 있어 공기 흐름이 빨라집니다.그래서 아래쪽 압력은 높아지고, 위쪽 압력이 낮아져 위로 올라가는 힘이 작용합니다.비행기는 이 힘(양력)으로 위로 뜨게 되는 겁니다.
#윙렉이 주는 몇가지 이점은?
윙렛의 원리는 1897년 영국의 레드릭 렌체스터가 처음 발견했습니다.그는 날개 끝에 수직으로 패널을 세우면 와류가 제어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특허출원을 했습니다.이후 1970년대에 미 항공우주국(NASA)의 리차드 위드컴이 윙렛을 고안해 실제 비행기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윙렛을 설치하면 얻게되는 몇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먼저 와류로 인한 유도항력(비행체를 잡아당기는 힘)을 10~30%를 감소시켜 연비가 좋아집니다.실제로 윙렛을 적용한 비행기는 평균 3~5% 정도의 연비와 향속거리 향상을 보이고 있습니다.이는 비용절감 효과로 까지 이어집니다. 대항항공은 보잉 737-800에 블렌디드 윙렛을 장착해 2011년 약 139만 달러(18억 6287만원)의 운영비를 절감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주변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항공기의 속도가 느리고 항공기가 커질수록 와류는 커지게 되는데 근접 비행하는 항공기의 비행안전에 치명적을 수 있습니다.실제로 대형기의 날개 끝 와류에 휘말린 항공기가 조종 불능으로 추락한 사고도 있습니다.이 때문에 공항의 항공기 접근 항공로의 수평간격은 옆 비행기가 와류 영향을 받지 않게끔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윙렛이 없는 비행기도 있어...이유는?
B777은 보잉의 대표적 기종이지만 윙렛이 없습니다. 이유는 항공기 특유의 넓은 전폭(全幅: 전체 폭)때문입니다.
B777의 전폭은 약 64.8m입니다.만약 윙렛을 달아서 비행기 주날개 폭이 65M를 넘게 되면 비행장 코드가 F인 대형 공항에만 이착륙이 가능해 B777을 운용할 수 있는 공항의 수가 대폭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B777과 같이 날개가 긴 비행기에 윙렛을 붙이면 진동이 과도하게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보잉사가 최근 많이 사용하는 윙렛은 '레이키드 윙팁(Raked wing tip)입니다. 레이키드 윙팁은 주날개 끝부분이 위로 접히지 않은 대신 뒤로 꺾는 방식으로 와류를 억제합니다.
이 방식은 수직 방향 윙렛보다 주날개 전체 면적을 넓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날개 크기가 커지면 양력이 좋아져 이착륙시 활주거리도 줄일 수 있습니다.
본 항공기가 상용화 될 경우 공항과 항공사 모두 그 장점의 혜택을 누릴 거라 전망됩니다.
‘알고두면 쓸모 있는 항공 상식’은 항공 관련 상식 및 개념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독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