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알쓸항상]①새와 비행기의 충돌 ‘버드스트라이크’란 무엇인가?

▷ 최근 5년간 총 1378건…국내외 사고 계속 이어져
▷ 부딪치면 64t 충격… 전 세계적 피해규모 연간 1조

입력 : 2022.10.17 14:30 수정 : 2023.02.03 16:04
[알쓸항상]①새와 비행기의 충돌 ‘버드스트라이크’란 무엇인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알고두면 쓸모 있는 항공 상식은 항공 관련 상식 및 개념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독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매년 버드스트라이크(Bird Strike)가 끊이질 않아 비행안전과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항공기 안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인력과 장비를 보강해서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를 줄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버드스트라이크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우리 말로 '조류 충돌'이라고 불리는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는 조류가 비행기에 부딪히거나 엔진 속에 빨려들어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공항 부근, 그리고 이착륙 시 주로 발생합니다. 버드스트라이크와 관련해 유명한 사건은 허드슨 강의 기적으로도 알려진 민항기 수면 착륙 사건입니다.

 

당시 뉴욕을 향해 출발해 노스캐롤라이나 샬럿으로 향하던 US에어웨이즈 1549편 에어버스 A320, N106US기가 기러기때와 만나 비행기 모든 엔진이 나가고, 뉴욕 상공에서 동력을 잃어버렸습니다. 당시 기장은 기지를 발휘해 비행기를 허드슨 강에 비상착륙시켰고 탑승자 전원이 생존하는 기적을 보여줬습니다.

 

비슷한 시기 사상 최악의 버드스트라이크 사고로 불리는 카스피안 항공 7915편 추락사고도 버드스트라이크가 원인이었습니다. 이란 테헤란 공항에서 이륙 중이던 이 항공기는 고도 9700m에서 새가 엔진으로 들어간 탓에 이륙 16분만에 들판에 추락했습니다. 당시 이 사고로 승무원 15명을 포함해 탑승자 전원(168)이 사망했습니다.

 

출처=대한항공

 

 

우리나라에서도 버드스트라이크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실제 김병욱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공항공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버드 스트라이크는 총 1378건이 발생했으며, 매년 200~300건 이상의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난 7 9일 이스탄불 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에 도착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KE9956(기종 A330-200)가 이륙한지 1시간 30여분 만에 오른쪽 엔진에서 굉음과 함께 불꽃이 튀어 가장 가까운 공항인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 공항에 비상착륙한 바 있습니다.

 

지난 4월에도 승객 256명을 태우고 인천공항에서 베트남 호치민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KE683편 항공기가 버드스트라이크로 엔진문제가 발생해 인천으로 회항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다행히도 두 사고 모두 사상자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기껏해야 몇 백 그램에서 몇 킬로그램 정도에 불과한 작은 새 한마리지만 비행기와 부딪히면 그 충격은 상당합니다. 실제로 1.8kg의 새가 시속 960km로 비행하는 항공기와 부딪치면 64t 무게의 충격을 주는 것과 같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 버드스트라이크로 인한 피해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1조원을 넘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