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11월 경상수지 6억2000만달러 적자…소비심리까지 하락

▷한은, 11월 국제수지 잠정 발표…상품수지 두 달째 적자
▷수입 23개월 연속 증가… 원자재 수입 증가 때문
▷11월 국내 소비도 감소…”이태원 참사 영향”

입력 : 2023.01.10 14:35 수정 : 2023.01.10 14:37
11월 경상수지 6억2000만달러 적자…소비심리까지 하락 김영환 금융통계부장. 출처=한국은행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우리나라 지난해 11월 경상수지가 6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경상수지 적자는 지난해에만 벌써 세번째입니다. 상품수지가 두 달째 적자를 본 데 이어 서비스수지도 적자 전환한 영향이 컸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 목표 250억 달러 달성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사수지는 6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44000만 달러 감소한 수준입니다. 이로써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437000만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분의 1에도 못 미쳤습니다.

 

경상수지 적자에는 지난해 8월 이후 3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한 상품수지가 가장 큰 요인이 됐습니다. 지난해 11월 상품수지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64000만달러 감소하면서 15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경기둔화 등 영향으로 반도체, 화공품 등 수출이 감소한 데 따른 것입니다.

 

반면 수입은 원자재 수입이 증가하고 자본재, 소비재도 소폭 확대되며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33000만달러 늘어난 5388000만달러를 기록해 23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서비스수지 적자규모는 운송수지 흑자폭 축소 등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7000만달러에서 34000만 달러로 확대됐습니다.

 

임금∙배당∙이자 등의 유출입을 나타내는 본원소득수지 흑자규모는 배당지금 감소 등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17000만달러에서 143000만달러로 확대됐습니다. 이전소득수지는 14000만달러 적자를 시현했습니다. 이전소득수지란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과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차액을 의미합니다.

 

한편 우리나라가 국제 경상수지 부문에서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11월 국내 소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산업 생산 지수는 114.3으로 지난달보다 0.1% 증가했습니다. 5개월 만의 증가 전환이지만 10월 생산이 1.7% 감소하며 나타난 기조효과에 따른 일시적 반응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이 0.4% 증가했지만, 반도체 생산은 11% 급감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도 숙박·음식점업 등을 중심으로 0.6% 줄었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118.1 1.8% 감소했습니다. 이로써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는 9∼11월 석 달 연속으로 동반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국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고 물가 상승, 금리 인상 등으로 소비심리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숙박음식업, 예술·스포츠·여가 등 소비자 서비스업 소매판매가 감소해 이태원 참사도 기본적으로는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