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 넘는 고가 월세 거래량 8만건 돌파…왜?
▷8만812건 집계…지난해보다 24.8% 증가
▷금리인상으로 전세대출부담 이자 커져
▷깡통전세나 전세사기 피해 우려도 영향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월 100만원이 넘는 고가 월세 거래량이 8만건을 돌파했습니다. 금리 인상으로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전세보증금 사기 피해 우려 등으로 월세를 선호하는 임차인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1~12월 전국 아파트 월세 거래량 41만5445건 중 월세 100만원 이상은 8만812건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아파트 월세액이 100만 원 이상인 거래는 지난 2020년 3만 2000여
건에서 지난해 6만 4000여 건으로 늘어난 뒤 올해 다시
24.8% 증가했습니다.
#이유는?
이처럼 고액 월세 거래가 증가한 데에는 금리인상으로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진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한은은 지난해 9월부터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해 0.5%에서 3.25%까지 올렸습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기조와 더불어 최근 한은이 물가안정 중심의
통화정책을 이어간다고 밝히면서 기준금리가 3.5% 수준까지 올라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9월에 1억을 전세자금을 대출받은 사람이 1년 간 부담하게 될 이자가 0.5% 기준 약 월 4만 1666원 정도의 금액이었다면, 지금은 3.5% 기준 월 29만 1666원에 달합니다. 한 순간에 갚아야 할 대출금이 약 7배가 늘어나는 셈입니다.
여기에 깡통전세나 전세 사기 피해 우려 등으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임차인이 늘어난 것도 고액 월세 거래가
증가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이 26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1월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 건수는 852건으로, 금액으로는 1862억2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달(1526억2천455만원)과 비교했을
때 22%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사고 건수는 704건으로 지난달에 비해 150건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집주인을 대신해 세입자에게 대신 갚아준
전세보증금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HUG에 따르면 보증사고로 인한 전세보증금 대위변제액은 11월 1309억원(606가구)으로 지난달보다 222억원(20.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금리 인상으로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진데다 전세보증금 사기 피해 우려 등으로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임차인이 늘어나 고액 월세 아파트 거래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