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꽁꽁 얼어붙은 해외 주택시장...국내 전망은?
▷10월 미국 주택 매매 5.9%↓…HPI도 하락
▷캐나다도 주택 거래 줄고 가격 하락세 전환
▷IMF, 한국 부동산 가격 향후 크게 하락 예측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불확실성의 영향으로 미국 등 전 세계 주택 시장이 꽁꽁 얼어붙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KB경영연구소가 펴낸 12월 부동산 리뷰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미국의 기존주택 매매건수는 443만 호로 지난달 같은 기간과 비교해 5.9% 감소했습니다. 이는 코로나 19 사태 초기 봉쇄 기간을 제외하면 201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0월 매매 건수는 28.4% 급감했습니다.
지난 9월 미국의 스탠더드앤푸어스(S&P) 주택가격지수는 306.29로 지난달과 비교해 1.5% 하락했습니다. 주택가격지수(House Prices Index∙HPI)는 시간 경과에 따른 주거용 부동산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수를 말합니다. 보고서는 건설시장 냉각으로 주택공급물량 감소하며, 주택가격 하방압력은 다소 약화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캐나다 주택 시장도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주택 거래가 줄고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캐나다의 3분기 기준 주택 매매거래량을 보면 약 43.4만호로 지난해 3분기 이후 꾸준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캐나다의 부동산 가격은 추가 하락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IMF, 한국 등 아태지역 부동산 가격 하락 전망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현지시간) ‘아태지역 주택시장의 안정성과 경제성’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한국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향후 크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IMF는 보고서에 “코로나
19 이후 급등했던 아태지역 주택시장이 가격 불일치와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하락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습니다.
IMF는 이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
5~20% 수준의 주택 가격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향후 4분기 주택 가격 성장은 코로나19 초기 때보다 약 10%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