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 달갑지 않은 기업들... "원가 부담이 수익보다 커"
▷ 2022년 원달러 환율 한 때 1,400원 넘게 치솟아
▷ 수출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 "고환율, 원가상승 효과 > 매출증대 효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2년은 가히 ‘환율의 해’라고 부를 법합니다. 지난해 1월 최저 1,080원 대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은 2022년 들어서 거침없이 오르기 시작해 현재 1,200원 후반대에 머무르고 있는데요.
올해 중 평균환율은 약 1,292.7원으로 지난해 대비 12.9% 상승했습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원화 가치가 무려 11.5%나 절하된 셈입니다.
★ 2022년도 최고 원달러 환율: 1,442.50원 (10월 14일)
원달러 환율이 이렇게 가파르게 오른 데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국發 파운드화 쇼크,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중국의 경제 부진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특히, 이 중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OMC)의 연이은 금리 인상이 가장 큰 효과를 미쳤습니다. FOMC는 지난 5월부터 금리를 0.75% 인상하는 ‘자이언트스텝’을 4차례 연속으로 단행한 바 있으며, 인상의 속도를 늦출지 언정 기준 금리 자체를 낮추는 일은 없을 거라고 이야기했습니다.
FOMC가 시중에 있는 달러를 거둬들이면서 달러의 가치가 급상승했고,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는 보전하지 못한 셈입니다.
환율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특히 기업의 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합니다.
수출 기업의 경우 사실상 환율에 따라 수익이 판가름난다는 측면에서 환율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인데요. 환율이 오르면, 기업 입장에선 외국에 물건을 비싸게 팔 수 있어서 좋지만 동시에 수입 원자재의 가격이 오릅니다.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셈으로, 말 그대로 달러의 ‘물가’가 올라 무역 환경 자체가 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환율이 이례적으로 오른 올해, 기업들의 영업환경은 어떨까요.
한국은행의 설문조사 결과, 환율상승이 기업의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원가상승 효과(비용측면)가 매출증대 효과(수익 측면)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가상승 효과가 더 크다고 응답한 업체가 42.6%, 매출증대 효과가 더 크다고 응답한 업체가 34.3%였는데요.
다만, 내수업체를 제외한 ‘수출업체’로 한정할 경우엔 매출증대 효과가 더 크다고 응답한 업체가 64.4%에 이르렀습니다.
즉, 수익을 달러로 벌어들이는 수출 기업 입장에선 환율 상승이 호재로, 내수 기업 입장에선 악재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업종 별로 따지면, 환율 상승에 가장 많은 수혜를 입은 곳은 ‘제조업’이며, 수입원재료 의존도가 높은 1차금속을 제외하곤 대부분 매출증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반면, 건설업과 서비스업은 원가상승 부담이 더 크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각각 52.4%, 58.5%에 달했습니다. 환율이
오르면서 원자재 가격도 동시에 뛰었고, 이것이 생산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환율은 기업의 자산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환율변동에 따른 기업의 영업외(外)손익은 주로 외화순자산(외화자산에서 외화부채를 뺀 값)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데, 지난 9월 말 기준 외화순자산이 양(+)인 업체의 비중이 음(-)인 업체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업체 중 외화자산이 더 많은 업체가 33.3%, 외화부채가 더 많은 업체가 12.2%로 나타났는데요. 외화자산과 부채가 비슷하다는 기업이 18%, 둘다 없다는 비율은 38.5%에 달했습니다.
즉, 달러의 가치가 올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의 가치도 덩달아 오른 것인데요. 외화 부채보다 외화 자산이 많은 기업 입장에선 환율 상승이 큰 이득으로 작용한 셈입니다.
기업은 고환율이 장기간 지속되는 상황을 부정적으로 전망했습니다. 설문응답업체의 58.7%가 고환율로 인해 기업의 장기적 성장 또는 사업 연속성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62.3%, 건설업의 54.5%, 서비스업의 51.6%가 고환율을 달가워하지 않았는데요.
기업들은 수익성 측면에서 원/달러 환율의 적정 수준을 1,200원 대(39.9%)로 여겼습니다. 그 다음이 1,100원대(32.3%), 1,300원대(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