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여전히 인기 많은 OTT 서비스... 향후 전망은?

▷ OTT 이용률 72%, 전년 대비 2.5% ↑
▷ 유튜브가 OTT 서비스 중 1위, 넷플릭스 2위
▷ 아시아 OTT 서비스 시장 급성장

입력 : 2022.12.27 15:00 수정 : 2022.12.27 15:20
여전히 인기 많은 OTT 서비스... 향후 전망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유수한 컨텐츠 대기업들이 포진하고 있는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시장이 여전히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만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OTT 이용률이 72%로 집계되었는데요.

 

이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수치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대면서비스가 활성화되어 OTT 서비스가 인기를 잃을 것이란 주장과 달리 여전한 인기를 자랑하고 있는 셈입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의 OTT 이용률이 95.9%로 가장 높고, 10대와 30대는 90%대의 이용률을 보였으며, 40대 이후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OTT를 잘 이용하지 않는 경향을 드러냈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OTT 이용률이 높다는 사실은 스마트폰과 관련이 깊습니다. 10~40대 중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은 90%에 이르는데, OTT 이용자 과반수 역시 스마트폰(89.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OTT 서비스가 안방을 완전히 독점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OTT 붐이 한창 일었을 때, ‘코드 커팅’(Cord Cutting)이나 코드 쉐이빙’(Cord Shaving) 하여 OTT가 유료방송의 자리를 위협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는데요.

 

코드 커팅(Cord Cutting): OTT 등의 인기로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를 해지하는 현상

코드 쉐이빙(Cord Shaving): OTT 등의 인기로 기존에 사용하던 유료 서비스를 해지하고 보다 저렴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상

 

이와 달리 TV 이용률은 75.5%로 전년(73.4%)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OTT 서비스도 TV 수상기를 통해 이용하는 비율이 16.2%2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불어났습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적인 부분에서 OTT 서비스가 나름 TV와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목해볼 부분은 OTT 시장의 현황입니다.

 

방통위의 조사 결과, 주로 이용하는 OTT 서비스는 유튜브가 66.1%1, 그 다음이 넷플릭스(31.5%), 티빙(7.8%), 웨이브(6.1%), 쿠팡플레이(5.2%) 순인데요.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중 넷플릭스는 올해 상반기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넷플릭스는 지난 10년간 OTT 콘텐츠에 대한 인기를 바탕으로 급성장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 많은 대기업이 OTT서비스에 뛰어들면서 시장은 수많은 경쟁자로 가득 찼고, 넷플릭스는 지난 1분기 유료 회원이 22,160만 명으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20만 명 줄어들더니 2분기에도 가입자가 97만 명 감소했습니다.

 

디즈니 역시 야심차게 시장에 내놓은 디즈니플러스가 기대치에 못미친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는데요. 넷플릭스와 디즈니 모두 콘텐츠가 생각보다 미진하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이후, 아이러니하게도 넷플릭스는 콘텐츠를 이용해 하향세를 뒤집었습니다.


넷플릭스의 지난 3분기 가입자는 전 분기 대비 241만 명이나 늘었는데요. 매출 역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나 증가한 793000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넷플릭스의 신규 구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아시아로, ‘기묘한 이야기 시즌4’, ‘다머’, ‘이상한변호사 우영우등의 인기를 통해 발돋움할 수 있었다는 게 넷플릭스의 설명입니다.

 

디즈니 플러스 역시 최근 내놓은 스타워즈 시리즈 안도르가 스트리밍 1위를 차지하는 등 반전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등 쟁쟁한 기업들이 넘쳐나는 OTT 시장은 향후에도 큰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Grand View Research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2020501억 달러에서 2027년이면 1,843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아시아의 성장률이 5년 사이 21.5%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