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여전히 인기 많은 OTT 서비스... 향후 전망은?

▷ OTT 이용률 72%, 전년 대비 2.5% ↑
▷ 유튜브가 OTT 서비스 중 1위, 넷플릭스 2위
▷ 아시아 OTT 서비스 시장 급성장

입력 : 2022.12.27 15:00 수정 : 2022.12.27 15:20
여전히 인기 많은 OTT 서비스... 향후 전망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유수한 컨텐츠 대기업들이 포진하고 있는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시장이 여전히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만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OTT 이용률이 72%로 집계되었는데요.

 

이는 전년 대비 2.5% 증가한 수치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대면서비스가 활성화되어 OTT 서비스가 인기를 잃을 것이란 주장과 달리 여전한 인기를 자랑하고 있는 셈입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의 OTT 이용률이 95.9%로 가장 높고, 10대와 30대는 90%대의 이용률을 보였으며, 40대 이후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OTT를 잘 이용하지 않는 경향을 드러냈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OTT 이용률이 높다는 사실은 스마트폰과 관련이 깊습니다. 10~40대 중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은 90%에 이르는데, OTT 이용자 과반수 역시 스마트폰(89.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OTT 서비스가 안방을 완전히 독점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OTT 붐이 한창 일었을 때, ‘코드 커팅’(Cord Cutting)이나 코드 쉐이빙’(Cord Shaving) 하여 OTT가 유료방송의 자리를 위협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는데요.

 

코드 커팅(Cord Cutting): OTT 등의 인기로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를 해지하는 현상

코드 쉐이빙(Cord Shaving): OTT 등의 인기로 기존에 사용하던 유료 서비스를 해지하고 보다 저렴한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상

 

이와 달리 TV 이용률은 75.5%로 전년(73.4%)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OTT 서비스도 TV 수상기를 통해 이용하는 비율이 16.2%2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불어났습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적인 부분에서 OTT 서비스가 나름 TV와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목해볼 부분은 OTT 시장의 현황입니다.

 

방통위의 조사 결과, 주로 이용하는 OTT 서비스는 유튜브가 66.1%1, 그 다음이 넷플릭스(31.5%), 티빙(7.8%), 웨이브(6.1%), 쿠팡플레이(5.2%) 순인데요.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중 넷플릭스는 올해 상반기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넷플릭스는 지난 10년간 OTT 콘텐츠에 대한 인기를 바탕으로 급성장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 많은 대기업이 OTT서비스에 뛰어들면서 시장은 수많은 경쟁자로 가득 찼고, 넷플릭스는 지난 1분기 유료 회원이 22,160만 명으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20만 명 줄어들더니 2분기에도 가입자가 97만 명 감소했습니다.

 

디즈니 역시 야심차게 시장에 내놓은 디즈니플러스가 기대치에 못미친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는데요. 넷플릭스와 디즈니 모두 콘텐츠가 생각보다 미진하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이후, 아이러니하게도 넷플릭스는 콘텐츠를 이용해 하향세를 뒤집었습니다.


넷플릭스의 지난 3분기 가입자는 전 분기 대비 241만 명이나 늘었는데요. 매출 역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나 증가한 793000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넷플릭스의 신규 구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아시아로, ‘기묘한 이야기 시즌4’, ‘다머’, ‘이상한변호사 우영우등의 인기를 통해 발돋움할 수 있었다는 게 넷플릭스의 설명입니다.

 

디즈니 플러스 역시 최근 내놓은 스타워즈 시리즈 안도르가 스트리밍 1위를 차지하는 등 반전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등 쟁쟁한 기업들이 넘쳐나는 OTT 시장은 향후에도 큰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Grand View Research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스트리밍 시장 규모는 2020501억 달러에서 2027년이면 1,843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아시아의 성장률이 5년 사이 21.5%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2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3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4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5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

6

유아특수교사 자격 취득과정이 없어진 것도 아니고 갈 수 있는 길이 명백히 있는데 왜 자꾸 ‘준하는’ 교육으로 자격을 날로 먹으려 하죠? 충분한 현장경험과 경력이요? 그건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경력이구요, 유아특수교사 경력으로는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다르니까요. 차별이 아니라 차이입니다. 애초에 자격 양성 과정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다른 것에서 오는 수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 왜 별 문제 없는 것처럼 말하세요? 교사의 수준 하락, 유아들의 교육의 질 하락 등등 모든 것이 다 문제인데 ‘왜 같은 직업인데 우리만 차별해ㅠㅠ 우리만 안 해줘 ㅠㅠ’ 하고 애처럼 우기지 마세요. 달라서 문제입니다. 준하는 교육이 아닌 동일한 교육을 받으세요. 길은 충분히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