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짧은 영상 '숏폼', 자칫 문해력 저하 등 악영향 줄 수 있어

▷1분 이하의 짧은 영상 정신건강에 악영향 미쳐
▷자극적인 소재로 인한 내성으로...팝콘 브레인 가능성도

입력 : 2022.12.16 15:41 수정 : 2022.12.16 15:5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어디서나 빠르게 볼 수 있는 숏폼’(Short-Form)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숏폼이 문해력이나 정신건강 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세대의 문해력에 대한 지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과문의 심심한 사과에서 심심(甚深)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가 아닌 하는 일이 없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로 오인해 젊은 세대의 문해력 저하 논란이 있었습니다.

 

지난해 4월 전국 초중고 교사 11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문해력 저하 원인 1위로 유튜브 등 영상 매체에 익숙해져서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도 1분 이내의 짧은 영상은 대개 맥락이 없는 경우가 많아 맥락에 대한 노력 없이 영상을 볼 수 있는 환경이 문해력 저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숏폼은 짧은 시간에 주목도와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소재를 담는 경우가 많아 자극적인 콘텐츠에 장시간 노출되면 우울증, 불안 등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콘텐츠는 스마트폰 중독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극적인 영상을 볼 때 도파민이 분비되는데, 이를 반복하게 되면 내성이 생기고 더 강한 자극을 원하는 팝콘 브레인을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팝콘 브레인은 디지털 기기의 빠르고 강렬한 자극 때문에 일상 생활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전문가들은 숏폼 시청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용 시간을 정해두고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합니다.

 

유아는 한번에 30, 하루에 1시간 이상 보지 않고, 청소년은 하루 2시간 이하로 시청하길 권합니다. 성인 또한 필요시에만 시청하고 그럼에도 숏폼 시청 시간이 많다면 숏폼 앱을 삭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