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사노조 “명품 동네에 필요한 것은 차별이 아닌 포용”…성동구 특수학교 반대에 ‘유감’
▷ “명품 동네에 어울리지 않는다?”… 노조 ‘차별적 발언’ 지적
▷ “특수학교는 기피시설이 아니라 포용의 상징”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특수교사노조)는 성동구 특수학교 건립 반대에 유감을 표하며,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촉구했다.
특수교사노조는 16일 성명을 내고, 성동구에서 추진 중인 특수학교 설립 계획이 일부 지역주민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히는 상황에 대해 “장애학생의 교육받을 권리는 지역 이기주의와 타협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밝혔다.
노조는 성동구 주민설명회에서 일부 시민이 “성동구는 이제 명품 동네가 된 만큼, 명품 학교를 지어야 한다”라고 말한 발언에 대해 차별적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수학교를 ‘명품’의 반대 개념으로 치부하며, 장애학생의 교육시설은 ‘명품 동네’인 성동구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은 차별적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교육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제공돼야 하며,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고품질 교육”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를 함께 품는 공동체적 가치가 진정한 민주시민의 소양”이라고 전했다.
특수교사노조는 또한, 일부 주민이 옛 공업고등학교 부지에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고등학교를 설립하라는 주장에 대해 “실제 교육 수요를 외면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최근 학부모와 학생은 전교생 1천 명 이상인 대형 학교를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특수학교 부지 근처 고등학교의 학생 수가 320여 명에 그치며, 서울 내 특수학교는 단 33개뿐이라는 것이 노조의 설명이다.
노조는 “특수학교가 더 이상 사회적 기피 시설로 치부되면 안된다”라며 “특수학교 설립은 지역의 약자를 품고, 인권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도시 공간계획”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노조는 서울시교육청과 성동구청, 서울시청 등 지방정부에 “특수학교의 기능과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제대로 알리고, 장애학생이 학교에 갈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라”라고 요구했다.
댓글 1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