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특수교사노조 “명품 동네에 필요한 것은 차별이 아닌 포용”…성동구 특수학교 반대에 ‘유감’

▷ “명품 동네에 어울리지 않는다?”… 노조 ‘차별적 발언’ 지적
▷ “특수학교는 기피시설이 아니라 포용의 상징”

입력 : 2025.07.16 11:00
특수교사노조 “명품 동네에 필요한 것은 차별이 아닌 포용”…성동구 특수학교 반대에 ‘유감’ (사진=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
 

[위즈경제] 이수아 기자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특수교사노조)는 성동구 특수학교 건립 반대에 유감을 표하며, 장애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촉구했다. 

 

특수교사노조는 16일 성명을 내고, 성동구에서 추진 중인 특수학교 설립 계획이 일부 지역주민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히는 상황에 대해 “장애학생의 교육받을 권리는 지역 이기주의와 타협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밝혔다. 

 

노조는 성동구 주민설명회에서 일부 시민이 “성동구는 이제 명품 동네가 된 만큼, 명품 학교를 지어야 한다”라고 말한 발언에 대해 차별적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수학교를 ‘명품’의 반대 개념으로 치부하며, 장애학생의 교육시설은 ‘명품 동네’인 성동구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은 차별적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교육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제공돼야 하며,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고품질 교육”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를 함께 품는 공동체적 가치가 진정한 민주시민의 소양”이라고 전했다. 

 

특수교사노조는 또한, 일부 주민이 옛 공업고등학교 부지에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고등학교를 설립하라는 주장에 대해 “실제 교육 수요를 외면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최근 학부모와 학생은 전교생 1천 명 이상인 대형 학교를 선호하는 분위기에서 특수학교 부지 근처 고등학교의 학생 수가 320여 명에 그치며, 서울 내 특수학교는 단 33개뿐이라는 것이 노조의 설명이다. 

 

노조는 “특수학교가 더 이상 사회적 기피 시설로 치부되면 안된다”라며 “특수학교 설립은 지역의 약자를 품고, 인권과 공공성을 실현하는 도시 공간계획”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노조는 서울시교육청과 성동구청, 서울시청 등 지방정부에 “특수학교의 기능과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제대로 알리고, 장애학생이 학교에 갈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라”라고 요구했다.


 
이수아 사진
이수아 기자  lovepoem430@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