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KCA에 PQC 기반 보안 체계 도입
▷LG U+, 국가자격검정시험 등 KCA 주요 시스템에 PQC 적용 실증사업 착수
▷자율주행, 금융·공공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 개발 예정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미래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양자내성암호(Post-Quantum Crypthgraphy·PQC)’ 기반 보안 체계가 공공기관에 확산된다.
LG유플러스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주요 시스템에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체계를 적용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KCA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다.
양자내성암호(PQC)는 격자 기반 문제, 다변수 다항식 문제 등 양자컴퓨터로도 풀기 어려운 수학적 알고리즘을 활용해 설계된 차세대 암호 기술이다.
기존 암호체계(RSA, ECC 등)가
양자컴퓨터로 인해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 정부와 통신업계를 중심으로 PQC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VPN(가상사설망, Virtual Private Network) △VDI(가상 데스크톱
인프라,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CBT(디지털 시험장, Computer-Based Test) 등 주요 보안 인프라에 PQC 암호모듈을
적용하고,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성능과 적용성을 검증한다.
특히, 모바일 및 윈도 기반 VPN 구간, 인증 서버, 보안 데이터베이스(DB)
등에 PQC 기술을 연계해 연내 실증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적용 대상은 KCA가 운영하는 국가자격검정시험,
ICT 비R&D 기금사업 정보관리시스템 등 주요 시스템이다.
이번 사업에서 LG유플러스는 PQC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허 기술을 적용해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알고리즘과 한국의 양자내성암호연구단(KpqC) 선정 알고리즘 7종을 정보시스템 환경에 맞는 최적의 알고리즘으로
선택하게 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2020년부터 PQC 기반 전용회선과 Q-ROADM(광전송장비)을 국내 최초로 사용화했고, 올해
1월에는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AlphaKey)’를
출시해 기업 대상 보안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했다.
특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공동으로 제안한 ‘광전송망 양자내성암호 적용 표준안’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로부터 ‘2024 우수
TTA표준’에 선정되며 기술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이 표준은 국내 최초로 광통신망에 PQC 기술을 적용한 사례로, 기존 전송망 인프라에서도 안전한 양자보안 체계를 구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NIA 주관의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사업을 통해 개발한 PQC 마이그레이션 플랫폼을 활용, 기존 암호 체계 취약점을 진단하고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해당 플랫폼은 미국 NIST의 PQC 표준
알고리즘과 국내 KpqC 공모전 수상 알고리즘을 통합해 제공되며, 산학연
누구나 사용 가능하다.
한편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관심이 높은 미국에서는 2022년부터 연방기관 전체에 PQC전환을 의무화했으며, 국내에서도 ‘KpqC 공모전’을 통해 국산 알고리즘을 선정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PQC 기술이
향후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금융·공공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적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은 “현재
사용 중인 암호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는 국가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국내 최초 PQC 실증 사업자로서 공공분야에 선제적으로 적용하고 국내 PQC 보안의
기준을 제시해 대한민국 양자 보안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하겠다”라며 “이번
실증사업을 도전과 도약의 기회로 삼아, PQC 기반 보안 환경을 한층 고도화하고 고객에게 차별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