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은 "인공지능 서비스 경험해본 적 있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 인공지능 서비스 이용률 증가와 함께 구독경제 활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서비스를 경험해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년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하여 지난해에는 60.3%를 기록했다. 인공지능의 도움에 만족한 정도는 '교통분야'가 98.3%로 가장 높았다.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가사 지원 로봇, 사물인터넷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가 각각 78.2%, 58.7%를 기록했다.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년 17.6%에서 지난해 33.3%로 약 두 배 가까이 늘었따. 이용 분야는 단순 정보검색, 문서작업 보조, 외국어 번역, 창작 및 취미 활동 보조,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 순이었다.
'구독 경제'의 인기 역시 여전하다. 인터넷 상품 구매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년 49.4%로 약 3.8배 늘었다. 연령 별로 보면, 구독서비스는 10~30대가 주도하고 있다.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2024년 34.3%로 약 1.7배 늘었고, 전체 가국의 인터넷 접속률은 지난해와 동일한 99.7%를 기록했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 1회 이상 이용하며, 주 평균 이용시간은 20.5시간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데,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건 '카카오톡'이었다. 인터넷 이용자의 95.4%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1인 미디어채널(68.3%)였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 曰 "인공지능 기술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우리 생활의 필수적인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이 국민의 일상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이용 역량 강화, 윤리적 활용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추진하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